비츠로셀, 이차전지쓰인다고 일차전지 안쓰일까요? 과연?(쉽게설명!)
비츠로셀 사업
리튬일차전지(95%, Li-SOCI2=Bobbin, Wound, 고온전지), 망간전지(4%) / 실리콘음극재, 그래핀 R&D
· 리튬일차전지 : Li-SO2, Li-SOCl₂(리튬염화비니오닐, 글로벌 점유율3위), LiMnO2
* 리튬일차전지 특징 : 고에너지밀도(망간, 알카라인1.5V > 리튬 3V), 장수명(5~10년), 넓은 온도대역(-55~85')
* Li-SOCl₂, LiMnO2 : 리튬일차전지 시장의 85% 차지
* 사용처 : 군수용, 민수용(RFID, Oil & Drilling, 스마트그리드)
기회
· 스마트그리드(전력, 가스, 수도) 등 계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 장수명의 리튬일차전지 탑재율 증가 중
· IOT 추세 > RFID, 적재창고모니터링
· 기존 경유로 돌아가던 산업 > 환경규제 > 산업의 전자화로 인한 리튬일차전지 수요 증가
· 세계의 군사적 긴장감 증대 > 군수용으로 많이 쓰이는 리튬일차전지 수요 증가 가능성
리스크
· 중국의 리튬일차전지 추진화 > 추후, 경쟁 위
·
업데이트 :
Li-SOCl₂ 글로벌 점유율 : 비츠로셀은 3위(초록색 부분)
주주구성(23.8월 기준) :
비츠로셀
비츠로셀은 일차전지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업체에요. 일차전지는 이차전지와 다르게 충방전이 불가능해서 1회용으로만 사용이 가능하죠. 그래서, 일차전지라는 이름이 붙었어요. 이차전지에도 하이니켈배터리, LFP배터리, 하이망간배터리 등 여러 종류가 있듯이, 일차전지도 몇 가지 종류가 있어요. 대표적으로 망간전지, 알카라인전지, 리튬일차전지입니다.
리튬전지는 기존 망간전지, 알카라인전지보다 전압이 2배(1.5V > 3V)이상 높아서 고에너지밀도를 갖출 수 있는데요. 고에너지밀도를 갖는다는 것은 일차전지의 한계였던 짧은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게 됐다는 얘기도 됩니다. 리튬전지의 평균수명은 무려 5~10년입니다. 생각했던 것보다는 길죠? 이러한 긴 수명을 갖게되니 계속 충방전을 시켜줘야하는 곳에 말고 한 번 딱 리튬일차전지를 부착해놓고 오랫동안 쓸 수 있는 곳에는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군수용 :
리튬일차전지는 고에너지밀도, 넓은 온도범위, 장수명으로 인해서 처음에는 군수용으로 쓰였어요. 2차세계대전때도 리튬일차전지가 쓰였을 정도이죠. 구체적으로 무전기, 어뢰, 미사일, 폭탄 등에 쓰이고 있어요. 물론, 이차전지도 삼원계가 들어가면 NCM배터리라고 부르고 LFP배터리가 따로 있는 것 처럼 리튬일차전지도 첨가소재에 따라 이름이 바뀌는데요. 황산+소금을 첨가하면 LiSOCI2(리튬염화티오닐)가 됩니다. LiSOCI2가 무전기, 어뢰에 쓰이죠.
생각해보면, 군수용 만큼 일차전지가 많이 필요한 곳도 없을 거에요. 하나의 예시를 떠올려보죠. 전쟁이 났어요. 전기, 통신, 석유창고 등 모두 1순위 타격감들이기 때문에 제일 먼저 끊길 겁니다. 그런데, 상대를 공격은 해야겠죠? 그러면 이미 탑재되어 있던 일차전지를 쓰는게 가장 유용합니다. 예를 들면, 옆 부대원들과 무전기로 소통을 하고 야간에는 적외선망원경을 껴서 적의 위치파악을 하는 등이죠. 만일 이차전지를 썼다면? 어디 콘센트를 찾아서 충전을 할 생각만 해야할 것입니다.
민수용 : 스마트그리드, RFID, Oil&Drilling
민수에서 가장 리튬일차전지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곳은 계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곳입니다. 예를 들면, 전력, 가스, 수도 등을 계측할 수 있는 계측시장에서 그 성장성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도시가스, 전기 등 에너지를 A, B 두 곳에 무차별하게 공급을 했었는데요. 이제는 스마트그리드라고 해서 모든 에너지의 흐름을 계측하고 제어할 수 있는 시장이 커진 것이죠. 그 결과, 만일 A 지역에서 전력 수요가 더 증가하는 것이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목격된다면 자연 스럽게 더 전력을 흘려보내는 식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죠.
뿐만 아니라, 무선주파수를 이용해서 실시간 소통 + 물체를 인식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에도 쓰일 수 있죠. 예를 들면, 컨테이너선 하나가 어느 정도 영하 온도를 보존해야하는 물고기가 가득한 컨테이너들을 실고온다고 해보죠. 바다건너서 올 때, 강한 햇볓으로 컨테이너선을 뜨겁게 달궈서 온도를 높일 수 있는데요. 만일, RFID 센서가 부착되어있다면, 온도가 올라갈 시 냉방기능을 사용해서 온도를 제어해주는 것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여기에 이차전지가 쓰이면, 잠간은 할 수 있지만, 에너지밀도가 낮고 다시 충전을 한다면 선도 연결해야하고 콘센트도 만들어야할 것이에요. 근데, 리튬일차전지를 사용하면 한 번 부착해놓고 10년 이상 사용할 수 있으니 이보다 편할 수 없겠죠.
원유 E(Exploration)&P(Production) 시장에서도 리튬일차전지가 쓰이는데요. E&P는 석유 탐사(Exploration)와 시추(Production)을 하는 것을 의미해요. 석유는 땅 속 밑에 뭍혀있죠. 이것을 파내려면, Drilling 작업을 해야하는데요. 근데, 지구의 중심에는 원자핵(중심부온도 5,700도)이라는 아주 뜨거운 놈이 있기 때 1km를 파낼 때마다 30도씩 올라가는 온도를 견뎌내야해요. 원유가 보통 땅속 깊이 1~6km에 있으니, 30x6 = 30~180도를 견뎌야하죠. 리튬일차전지는 고온 85도까지는 견딜 수 있기 때문에 3km 까지 파내는 시추선에는 탑재될 수 있는 거죠.
연구실적으로 보는 비츠로셀의 현 주소 :
개인적으로 비츠로셀의 연구실적과 연구계획을 보면 동사의 현 상황과 미래 비전이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같이 몇 개만 살펴볼까요.
비츠로셀은 리튬일차전지가 주력인데요. 사실, 일차전지의 구성도 이차전지와 다를바가 없어요. 양극, 음극, 전해액, 분리막 구성은 똑같죠. 다만, 소재에 따라서 충방전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성질이 달라지는 것인데요. 아래 R&D를 보면,이차전지의 음극에 들어가는 실리콘음극재, 그리고 액체에 담궜다 빼내는 과정을 반복하면 팽창하는 실리콘음극재를 잡아두기 위한 그래핀을 연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이차전지용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죠. 현재 음극재 소재로는 흑연과 카본블랙이 주로 쓰이고 있지만, 무겁고 공급망이 불안하다는 이유로 실리콘음극재가 각광을 받고 있는 상황이죠. 비츠로셀이 이차전지에도 진출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비츠로셀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