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진, 원자력발전소 부품인 '계측기'를 납품 (쉽게설명!)
우진 사업
원자력발전소 계측기(24%, 온도, 압력, 방사능 측정기기), 플랜트자동화설비(11%, 자동계측설비), 기타(65%, 온도센서, 산업용계측기, 경상정비) / 자회사 : 우진엔텍(경상정비)
1. 원전 계측기 : ICI, RSPT, IHA 케이블
ICI(In-Core Instrument) : 노심(원자핵)의 출구온도 측정
RSPT(Reed Switch Position Transmitter) : 제어봉 위치전송기 > 역할 : 제어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전달
* 제어봉(Control Rod) : 중성자의 속도를 조절 > 효과 : 핵분열 속도조절
IHA(In-Head Amplifier) Cable : 계측기와 다른 장비간 신호전달
------------------------------
2. 플랜트 자동화설비 : 제철공정 中, 이상 유무 신호전달
------------------------------
3. 기타 : 온도센서(반도체), 산업용 계측기, 경상정비(자회사 우진엔텍)
기회
·
·
리스크
·
·
업데이트 :
주주구성(24.1월 기준) :
우진
1. 계측기 :
우진은 원자력발전소에 들어가는 계측기를 만드는데요. 계측기는 이름 그대로 '무언가를 측정하는 기기'를 의미해요. 계측기도 여러 종류가 있고 각 측정기기마다 측정하는 목적이 달라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간단하게만 정리할게요.
정리
ICI(In-Core Instrument) : 노심(원자핵)의 출구온도 측정
RSPT(Reed Switch Position Transmitter) : 제어봉 위치전송기 > 역할 : 제어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전달
* 제어봉(Control Rod) : 중성자의 속도를 조절 > 효과 : 핵분열 속도조절
IHA(In-Head Amplifier) Cable : 계측기와 다른 장비간 신호전달
2. 플랜트 설비 :
동사는 플랜트향으로 자동화설비를 납품하는데요. 계측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플랜트에서도 무언가를 측정하는 설비를 납품해요. 주로, 제철소에서 이루어지는 공정 중 문제가 생기면 데이터를 보내주는 자동화설비를 만들고 있죠.
정리
플랜트 자동화설비 : 제철공정 中, 이상 유무 신호전달
연구실적으로 보는 우진의 현 주소 :
개인적으로 우진의 연구실적과 연구계획을 보면 동사의 현 상황과 미래 비전이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같이 몇 개만 살펴볼까요.
앞으로 전력사용이 증가하면서, 상대적 친환경에너지로 주목받는 원자력발전소는 더욱 더 준공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요. 다만, 기존의 큰 원전보다는 작은 형태인 SMR(Small Modular Reactor)형태로 공급될 것 같아요. 사이즈가 크면 토지선정, 주민반대, 해체 시에 문제가 커요. SMR을 이용 시, 설치용이와 무엇보다 가장 어려운 해체가 더 간결해진다는 아주 큰 장점이 있어요. 다만, SMR은 구조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기존 원전향 계측기를 납품하던 동사도 SMR향으로 연구개발을 하고 있어요.
우진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