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F, 의류업체라 끌리지는 않지만 배당수익률을 본다면..(쉽게설명!)
LF 사업
종합패션사업(77%, 브랜드=Daks, Maestro 등), 식자재유통(17%, 자회사 LF푸드=외식프랜차이즈, HMR), 금융(6%) /
1. 종합패션 : 남성, 여성, 캐쥬얼, 스포츠, 악세사리 등 > 브랜드 : DAKS, Maetsro, Barbour 등
----------------------------
2. 자회사 LF푸드 : 식자재유통, HMR(Home Meal Restaurant)
기회
·
·
리스크
·
·
업데이트 :
주주구성(24.2월 기준) :
LF
1. 종합패션 :
LF는 지주회사로 종합패션사업을 영위하고 있어요. 남성, 여성, 캐쥬얼, 스포츠, 악세사리 등을 판매하고 있죠. 남성의류브랜드인 Daks, Maestro가 가장 대중에게 알려진 브랜드에요.
정리
종합패션 : 남성, 여성, 캐쥬얼, 스포츠, 악세사리 등 > 브랜드 : DAKS, Maetsro, Barbour 등
2. 자회사 LF푸드 :
LF는 자회사 LF푸드를 통해 식자재유통사업을 하고 있어요. 식자재유통은 말 그대로 음식을 만드는데 필요한 재료인 '식자재'를 중간에서 배달(유통)해주는 일입니다. 가장 높은 마진은 싸게 사와서 비싸게 판매를 하면 돼죠. 식자재유통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 외식프랜차이즈를 운영하기도 해요. 최근에는 HMR(Home Meal Restaurant)시장이 커지면서 여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다만, HMR 시장은 모든 식품업체들이 진출 한 상황이에요. CJ제일제당, 오뚜기, 동원F&B, 하림, 대상, 풀무원 등 내놓라하는 업체들은 이미 진출해서 출혈경쟁을 하고 있죠.
정리
자회사 LF푸드 : 식자재유통, HMR(Home Meal Restaurant)
연구실적으로 보는 LF의 현 주소 :
개인적으로 LF의 연구실적과 연구계획을 보면 동사의 현 상황과 미래 비전이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같이 몇 개만 살펴볼까요.
LF는 종합패션사업자로써 따로 연구계획을 발표하고 있지는 않아요. 다만, 패션사업은 유행민감도, 재고관리가 굉장히 중요해요. 특히, 국내 의류업체들은 내수시장에 90% 이상 의존을 하고 있는데요. 한국과 같이 유행에 민감하고 4계절이 뚜렷하다는 환경변수도 있기 때문에 더욱 더 민감도가 더 커요. 백화점에 가보면 알겠지만, 이월된 상품들은 50% 이상 할인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마케팅 차원도 있겠지만, 의류업체의 수익성이 그만큼 떨어진다는 얘기도 됩니다.
LF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