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데이터API

쿠콘, 간편결제, 마이데이터, 기업ERP 등 쿠콘이 뒤에서 서비스판매(쉽게설명!)

Lsnb 2025. 1. 21. 06:06

쿠콘 사업

데이터서비스(53%, API=개인정보,마이데이터,기업정보,글로벌,제휴), 페이먼트서비스(47%, 간펴결제API=비대면인증,ARS인증, 전자금융API=입금이체,출금이체,가상계좌 )

1. 데이터 서비스(API, Application Programmable Interface) : 데이터 수집-가공-판매(라이센스, 정액제, 종량제)  > 종류 : API(개인정보, 마이데이터, 기업정보, 글로벌, 제휴) > 거래처 : B2B

* 개인정보 API : 개인소득정보, 대출한도&금리조회 등 

* 마이데이터 API : 개인API to 금융기관 

* 기업정보 API : 기업자금관리, 비대면업무지원, 증빙서류처리, 대금지급 등 

* 글로벌 API : 기업해외계좌관리, 현지ERP연계 등 

* 제휴 API : 간편인증, 보안키패드 for 모바일 

------------------------------------

2. 페이먼트 서비스 : 간편결제 API(간편결제, 비대면인증=1원계좌인증, ARS인증, 제로페이 등),  전자금융API((입금이체=급여, 출금이체=요급수납, 가상계좌=공과금,카드대금)

 

 

 

23년 연간기준 / 단위 : 백만원

 

 

기회

·

·

 

리스크

·

·

 

 

 


 

 

업데이트

 

 

주주구성(24.3월 기준) : 

 

 

 


 

 

쿠콘 

 

 

1. 데이터서비스

 

  쿠콘은 '데이터 수집, 연결'하여 API형태로 판매를 하고 있어요. API란 Application Programmable Interface의 약자인데요. 이름 그대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데이터를 사용(Programmable)할 수 있도록 중간다리(Interface)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해요. 예를 들면, 어느 웹사이트에 구글아이디로 로그인하고 싶으면, 해당 웹사이트(=애플리케이션)는 구글데이터를 사용(Programmable)하기 위해 구글과 웹사이트를 연결해주는 '중간다리(Interface)'를 가져와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죠.   

 

 

 

  데이터를 API형태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야말로 데이터가 있어야겠죠. 그래서, 수집과정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쿠콘은 금융, 공공, 유통,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개인정보, 기업정보, 글로벌정보 등을 수집하여 가공하죠. 여기서, 가공이란 서로 연관이 있는 것끼리 묶는 것을 의미해요. 실제로, 쿠콘은 금융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마이데이터'라는 사업을 하고 있어요. 마이데이터란 한 눈에 자신의 금융자산을 조회할 수 있는 것을 말하죠. 금융사는 쿠콘이 제공하는 API를 이용해서 본인들의 플랫폼에서 이용자가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죠. 

 

 

 

정리 

데이터 서비스(API, Application Programmable Interface) : 데이터 수집-가공-판매(라이센스, 정액제, 종량제)  > 종류 : API(개인정보, 마이데이터, 기업정보, 글로벌, 제휴) > 거래처 : B2B

* 개인정보 API : 개인소득정보, 대출한도&금리조회 등 

* 마이데이터 API : 개인API to 금융기관 

* 기업정보 API : 기업자금관리, 비대면업무지원, 증빙서류처리, 대금지급 등 

* 글로벌 API : 기업해외계좌관리, 현지ERP연계 등 

* 제휴 API : 간편인증, 보안키패드 for 모바일 

 

 

 

2. 페이먼트서비스

 

  개인, 기업, 글로벌 할 것 없이 중요한 데이터를 수집, 가공하고 있는 쿠콘은 이를 이용해 페이펀트서비스도 판매하고 있어요. 페이먼트는 '보안인증'이 가장 중요하죠. 예를 들면, 결제를 할 때, 구매자가 본인이 맞는지 확인이 중요할텐데요. 누구인지에 대한 데이터를 갖고 있는 쿠콘에게는 유리한 사업이라고 할 수 있죠. 실제로, 쿠콘은 간편결제, 비대면인증(1원계좌인증), ARS인증, 제로페이 등을 하고 있어요. 이 역시, 개인데이터 API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간편결제 API'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또한, 전자금융쪽으로도 API를 판매하고 있는데요. '전자금융 API'라고 부르죠. 이는 금융기관들과 금융 전산망을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이들 사이에 필요한 업무를 지원하는 것이에요. 예를 들면, 입금이체(급여, 배당금, 거래대금 등), 출금이체(요금수납, 자급엄무자동화), 가상계좌(공과금, 카드대금 등)가 있죠. 

 

 

 

정리 

페이먼트 서비스 : 간편결제 API(간편결제, 비대면인증=1원계좌인증, ARS인증, 제로페이 등),  전자금융API((입금이체=급여, 출금이체=요급수납, 가상계좌=공과금,카드대금)

 

 

 

연구실적으로 보는 쿠콘의 현 주소

 

  개인적으로 쿠콘의 연구실적과 연구계획을 보면 동사의 현 상황과 미래 비전이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같이 몇 개만 살펴볼까요. 

 

 

  요즘 비지니스는 '플랫폼' 형태로 시작을 하는 것이 생존전략이 되었어요. 플랫폼이 되어야 여기 안에서 사용자들이 락인(Lock-in)이 되고 이들이 만들어내는 데이터를 갖고 더 나은 서비스를 개발할 수가 있으니깐요. 그러면, 사용자들을 락인하는 전략이 중요할텐데, 한 가지 예시가 '마이데이터'에요. 흩어져 있는 자신의 자산, 개인정보 등을 한 눈에 모아보는 것은 사용자 입장에서 굉장히 편합니다. 그래서, 플랫폼업체들 입장에서는 마이데이터 사업이 필수가 되었는데요. 다만, 이는 라이센스를 국가로부터 받아야해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쿠콘은 마이데이터 API를 제공하는 연구개발을 했어요. 즉, 마이데이터 사업자가 아니어도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그러한 API인 것이죠. 


 

 

쿠콘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