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파인, 부동산 권리조사로 영업이익률30% 이상 찍고있는 알짜주식(쉽게설명!)
리파인 사업
전월세보증금대출 권리조사(88%), 주택담보대출 권리조사(3%),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수수료(4%), 통지관련수수료(4%, 채권양도통지서to임대인), 기타수수료(1%) / 경쟁력 : 부동산권리조사 국내1위 / 신사업 : B2C(집파인=임차인보호), 부동산데이터플랫폼
1. 부동산 권리조사 : 부동산의 권리관계 조사(소유권, 전세권, 저당권 등) for 대출금융기관 > 종류 : 권리조사(전월세보증금대출, 주택담보대출), 통지수수료(채권양도통지서), 전세보증금반화보증 위탁수수료
* 조사예시 : 실시간권리조사, 등기부조사, 전입세대조사, 유선조사(임대인,임차인), 중개업소조사 > 리스크관리 : 실소유자 행세, 깡통전세, 무자본 매입, 불법중개
* 임대인 : '품삯 임(賃)', '빌려줄 대(貸)', '사람 인(人)' > 뜻 : 빌려주는 사람
* 임차인 : '품삯 임(賃)', '빌릴 차(借)', '사람 인(人)' > 뜻 : 빌리는 사람
기회
·
·
리스크
·
·
업데이트 :
주주구성(24.3월 기준) :
리파인
리파인은 부동산 '권리조사'를 하는 업체에요. 부동산이란 결국 해당 건물, 토지의 '소유권' or '담보권'을 갖는 권리를 의미하죠. 건물 문 앞에 내 이름이 써있는 것이 아니기에 공인이 인증한 '권리'가 부동산거래에서는 필수에요. 이때, 거래당사자들은 권리에 대한 하자가 없도록 '리스크관리'를 하는데요. 이러한 권리의 정당성과 입증성을 조사하는 것이 '권리조사'입니다.
권리조사를 의뢰하는 거래처는 주로 B2B, 특히 보험사 같은 금융기관입니다. 금융기관에는 보통 부동산 거래를 하기 위해 '대출'을 하려고 오는 이들이 많죠. 예를 들면, 전월세대출, 주택담보대출 등이 있죠. 금융기관이 돈을 부동산대출을 해주기 전에 해당 부동산에 대한 권리를 명확히해야 안전하게 돈을 빌려줄 수가 있겠죠. 이러한 부동산권리조사를 대신 해주는 것이 리파인 같은 권리조사업체입니다.
예를 들어, 빌라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보죠. 그런데, 사실 이 빌라는 담보, 채무 등에 잡혀 있어 깡통이에요. 이를 숨기고 빌라주인이 금융기관에 가서 빌라를 갖고 있다고 말하고 대출을 받으면 어떻게 될까요? 금융기관은 빌라라는 부동산을 담보로 잡고 대출을 해주었는데 알고보니 따른 선순위 담보권리자가 나타난다면 골치아플겁니다. 이러한 부동산 거래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조사하는 것이 권리조사입니다.
다른 예시입니다. 전월세보증대출을 금융기관이 임차인(세입자)에게 해줍니다. 그 이유는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보증금을 돌려받을 '권리(임대차보증금반환채권)'를 확인했기 때문이죠. 그런데, 알고보니 집주인이 보증금을 반환할 능력이 없었는데 세입자에게 돌려주겠다고 했다면요? 세입자는 보증금을 못돌려받을 것이고 이를 담보로 대출해준 금융회사도 돈을 못돌려받는 상황이 생깁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권리조사'인 것이죠.
정리
부동산 권리조사 : 부동산의 권리관계 조사(소유권, 전세권, 저당권 등) for 대출금융기관 > 종류 : 권리조사(전월세보증금대출, 주택담보대출), 통지수수료(채권양도통지서), 전세보증금반화보증 위탁수수료
* 조사예시 : 실시간권리조사, 등기부조사, 전입세대조사, 유선조사(임대인,임차인), 중개업소조사 > 리스크관리 : 실소유자 행세, 깡통전세, 무자본 매입, 불법중개
* 임대인 : '품삯 임(賃)', '빌려줄 대(貸)', '사람 인(人)' > 뜻 : 빌려주는 사람
* 임차인 : '품삯 임(賃)', '빌릴 차(借)', '사람 인(人)' > 뜻 : 빌리는 사람
연구실적으로 보는 리파인의 현 주소 :
개인적으로 리파인의 연구실적과 연구계획을 보면 동사의 현 상황과 미래 비전이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같이 몇 개만 살펴볼까요.
권리조사를 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조사, 정책변화에 빠르게 대응해야해요. 그래서, 동사는 RPA(Robotics Process Automation)이라는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했어요. RPA를 사용하면, 부동산 등기부등본에 관한 조사를 자동화하여 최신 업데이트된 정보로 권리조사를 할 수 있게되죠.
또한, 권리조사를 하기 위해서는 '정확성'이 중요해요. 부동산 사기와 관련한 데이터가 들어오면, 정확한 판단을 할 수가 없겠죠. 그래서, 동사는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머신러닝기법을 사용합니다. 즉, 부동산권리조사에서 기존 모범모델에 속해있다면 PASS를 주고 벗어나면 의심을 해보는 것이죠.
리파인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