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장비/전극공정장비

제일엠앤에스, LG엔솔, 삼성SDI향 이차전지 믹싱장비 업체 (쉽게설명!)

Lsnb 2025. 3. 4. 06:15

제일엠앤에스 사업 

믹싱장비(99%, 믹싱=활물질+도전재+바인더 for 이차전지), 기타(1%, 용역, 방산)  / R&D : NMP회수 for 건조공정제거, 폐배터리

1. 믹싱장비(Mixer) : 믹싱(활물질+도전재+바인더) for 슬러리(Slurry)  

* 활물질 : 양극재(니켈N, 코발트C, 망간M, 알루미늄A), 음극재(흑연, 인조흑연, 실리콘)

* 도전재 : '인도할 도', '전기 전', '재료 재' > 역할 : 전자를 이동 > 종류 : 카본블랙, CNT 

* 바인더(Binder, 절연체) : 접착(활물질+도전재) on 집전체 > 종류 : PVDF(양극용), SBR(음극용)

* NMP(N-Methyl-2-Pyrrolidinone, 메탈피로리돈) : 바인더(절연체) 용해 for Better 믹싱(활물질+도전재+바인더)> 도전과제 : 건조공정(NMP제거작업) 없애는 법

 

 

 

23년 연간기준 / 단위 : 백만원

 

기회

·

·

 

리스크

·

·

 

 


 

 

업데이트

 

 

주주구성(24.4월 기준) : 

 

 

 

 


 

 

제일엠앤에스 

 

 

 

  제일엠앤에스는 이차전지 '믹싱장비'를 만드는 업체에요.믹싱장비란 말 그대로 섞는 것(Mixing)을 의미하는데요. 이차전지의 '전극공정'에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이에요. 전극공정은 전극을 만드는 공정인데요. 전극판에 이차전지 재료인 활물질+도전재+바인더를 도포해줘야해요. 이때, 따로 도포하는 것이 아닌 슬러리(Slurry) 형태로 만들어서 바르는데요. 슬러리를 만들어주는 것이 믹싱장비의 역할입니다. 

 

 

 

  믹싱장비의 핵심은 '골고루 섞는 것'에요. 보통 일반 반죽을 할 때는 믹서칼날인 블레이드(Blade)가 1개 들어가는데요. 이차전지장비용 믹싱장비는 2개가 들어가요. 빠르게 섞는 것이 생산속도를 높이기 때문이죠. 

 

 

정리 

믹싱장비(Mixer) : 믹싱(활물질+도전재+바인더) for 슬러리(Slurry)  

* 활물질 : 양극재(니켈N, 코발트C, 망간M, 알루미늄A), 음극재(흑연, 인조흑연, 실리콘)

* 도전재 : '인도할 도', '전기 전', '재료 재' > 역할 : 전자를 이동 > 종류 : 카본블랙, CNT 

* 바인더(Binder, 절연체) : 접착(활물질+도전재) on 집전체 > 종류 : PVDF(양극용), SBR(음극용)

* NMP(N-Methyl-2-Pyrrolidinone, 메탈피로리돈) : 바인더(절연체) 용해 for Better 믹싱(활물질+도전재+바인더)> 도전과제 : 건조공정(NMP제거작업) 없애는 법

 

 

 

연구실적으로 보는 제일엠앤에스의 현 주소

 

  개인적으로 제일엠앤에스의 연구실적과 연구계획을 보면 동사의 현 상황과 미래 비전이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같이 몇 개만 살펴볼까요. 

 

  NMP는 절연체인 바인더를 녹여서 활물질+도전재를 잘 섞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데요. 다만, NMP를 사용하게 되면 전극에 슬러리를 코팅 후, '건조공정'이 필요하게 돼요. 건조를 하려면 200도 이상의 에너지 소모가 필요하고 무엇보다 생산공정라인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도 1시간 이상 소모가 돼요. 그렇다고 NMP를 사용하지 않으면 슬러리를 제대로 만들지 못하죠. 그래서, 동사는 NMP 사용 후, 회수하는 정제설비를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제일엠앤에스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