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재생에너지/아이디어

요즘 태양광 원리에 대해서 세상 제일쉽게 설명 드림 (폴리실리콘은 덤!)


태양전지는 어떻게 만들까 ?


반도체, 태양전지는 웨이퍼위에 각종 공정을 더해서 만든다는 부분에서 같습니다. 다만, 태양전지에는 회로를 새기지 않기 때문에 그나마 덜 순수한 웨이퍼가 요구가 되는데요. 그럼에도, 태양전지용 웨이퍼의 소재인 실리콘의 순도가 99% 이상은 되야합니다. 그래서, 일반 실리콘이 아닌 좀 더 고순도인 폴리실리콘이 선호되는 것이죠.

태양광을 만드는 공정은 반도체공정보다 훨씬 간단해요. '폴리실리콘 > 잉곳 > 웨이퍼 > 태양셀 > 모듈 > 어레이'단계이죠. 태양셀, 모듈, 어레이는 결국 태양셀을 몇개 합친 것의 차이에 불과합니다. 폴리실리콘에서 웨이퍼도 결국 같은 부류인 것이죠. 그림으로 봐볼까요.



참고로 폴리실리콘의 제조공정에서 가장 많은 비용을 차지하는 것이 '전기세'에요. 무려, 전체의 35%나 차지하죠. 그렇다보니, 값싼 석탄을 태워서 전기를 만드는 중국이 폴리실리콘을 만드는데 절대적으로 유리해요. 전기료가 저렴하기 때문에 폴리실리콘 가격경쟁에서 우위에 있죠. 실제로, OCI의 비중국프리미엄 폴리실리콘 제품이 중국 현지업체들의 폴리실리콘 가격보다 100% 이상 비쌉니다.

태양전지는 어떻게 작동할까?


태양전지는 전자를 끌어들이는 성질을 가진 P형 반도체와 전자를 밀어내는 성질을 가진 N형 반도체가 만난 형태에요. P형은 +극, N형은 -극이라고 이해하면됩니다.


이 P형(+)과 N형(-)이 만나면 -극인 전자들이 +극인 P형으로 옮겨갑니다. 이때, P형반도체는 전자(-)가 많아졌음으로 -극으로 변하겠죠. 반대로, N형은 전자를 많이 잃었기 때문에 역으로 +극으로 변하게됩니다.

만든이 : LSNB


이때 태양전지가 빛을 받게 되면 광전효과가 일어나는데요. 광전효과란 원자에 빛을 쏘게되면 전자가 튀어나오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광전효과 : 빛인 광자가 전자를 때려 전자가 튀어나오는 현상 / 만든이 : LSNB

원자의 속성을 알면 더 이해하기 쉬운데요.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있죠. 원자핵은 +극, 전자는 -극입니다. 이때, 전자의 역할이 중요한데요. 전자가 빛을 잃으면 원자핵에 가까워지고, 빛을 얻으면 원자핵과 멀어집니다. 2차전지에서도 배웠듯이(2차전지배터리 참고) 전자인 -극이 +극으로 이동하면 방전을 하는 것과 똑같은 원리입니다.

빛을 잃었을 때 : 전자는 원자핵에 다가감 / 빛을 얻었을 때 : 전자는 원자핵과 멀어짐 / 만든이 : LSNB


빛을 받은 전자가 원자핵과 충분히 멀어져 있는 상태라고 해볼까요. 이러한 상태에서는 조금만 에너지를 줘도 바로 원자핵과 영원히 이별을 합니다. 즉, 전자가 자유가 되는 것이죠. 이것을 '자유전자'라고 부릅니다. 이 자유전자가 금속선을 타고 이동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이죠. 아래 그림을 통해 배웠던 내용을 정리해볼까요.

만든이 : LSNB

다만, 마지막에는 금속을 씌워줍니다. 전자가 금속을 타고 이동하니깐요. 그리고, 태양에너지가 닿는 부분에는 반사방지용 코팅을 해주면 햇빛이 온전히 흡수될 수 있게됩니다. 이렇게 태양전지가 완성되는 것이죠.

만든이 : LSNB


대표적인 태양광 기업이 궁금하다면 한화솔루션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