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림P&P 사업
· 제지(75%) : 인쇄용지(도공지=아트지, 비도공지=백상지), 특수지
· 펄프(25%) : 표백화학펄프 제조 및 판매(연 45만톤 Capa)
· 여신업
![](https://blog.kakaocdn.net/dn/celwhl/btsbDEk7QMN/RNRKeWn474dSubgqfouPS0/img.png)
기회
· 생분해 가능한 종이 + PE코팅 하지 않은 필름 > 기존 플라스틱 용기 대체 가능성(by 나노 셀룰로스)
·
리스크
· 디지털전환(DT, Digital Transformation) > 국내 인쇄용지 수요 둔화 > 아트지, 특수지 등 고급제지 or 수출 필요
· 국제적인 천연림 규제 이슈 > 제지업계 조림(인위적으로 구성한 숲)에서 목재칩 수입의무
업데이트 :
주주구성(23.3월 기준) :
![](https://blog.kakaocdn.net/dn/qRqrW/btsmkJQyRuQ/GXaqZALAC9bqUsNGwYu63K/img.jpg)
무림P&P
무림P&P는 국내 유일하게 펄프-제지공장을 수직계열화한 업체입니다. 펄프와 폐지(고지)는 제지의 원재료이죠. 참고로, 펄프는 넓은 개념인데요. 나무 숲이 많은 동남아, 북미, 남미 지역에서 목재칩(나무조각)을 수입해와서 이것을 기계적, 화학적 처리를 한 것이 펄프에요. 펄프란 '걸쭉한'이란 뜻이거든요. 아무튼, 펄프는 국내에서 산림자원보호와 벌채비용 상승으로 80% 이상을 해외에서 조달하고 있기 때문에, 아무리 무림P&P가 국내 유일 펄프생산업체라고 하더라도, 국제 펄프가격에 연동되어 팔 수 밖에 없습니다. 참고로, 동사는 매출비중 제지업(75%), 펄프(25%)의 비중을 갖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YGHh/btsbA5KFAol/mORIqKTK5rKBxNKzbVoYW1/img.png)
펄프(Pulp, 걸쭉하게 만들다) :
무림P&P는 연간 45만톤의 표백화학펄프 Capa 능력을 갖고 있어요. 이중 일부(보통 50%)는 모회사이자 제지업을 하는 무림페이퍼와 타업체에 판매를 하고 나머지는 슬러리로 만들어서 동사가 직접 종이를 만들어요. 표백화학펄프는 수입해온 목재칩(Wood Chip)을 더 얇게 썰기 위해 기계적(파쇄), 화학적(약품사용)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는데요. 보통, 화학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리그닌(흑액, 불순물)이라는 변색된 이물질이 남아요. 이를 제거한 것이 '표백화학펄프'인 것이죠. 참고로, 리그닌은 그냥 버려지지 않고 증기로 만들어서 지역난방 등 열에너지로 사용해요.
![](https://blog.kakaocdn.net/dn/Rmalj/btsbQFX13sZ/KkTZqwub3qrfudUdrpOgU1/img.png)
동사가 유일하게 국내에서 펄프를 직접 생산하는 업체에요. 그래서, 무림계열사들은 펄프-제지 공정이 수직계열화 되어있죠. 실제로, 무림P&P 공장은 펄프공장과 제지공장이 파이프라인으로 연결되어있어요. 이 파이프라인을 통해 표백화학펄프들이 이동하는 것이죠.
![](https://blog.kakaocdn.net/dn/zsUPq/btsbBUWprWe/kIZBJ4hDzjUCQHg2d78RKK/img.png)
다만, 무림P&P가 펄프를 직접 제작한다고 해도, 국내 펄프의 88%는 해외에서 들어옵니다. 주로, 동남아(태국, 베트남 등), 남미(칠레, 브라질) 등에서 들어오죠. 그렇기에, 펄프가격은 국제가격에 연동됩니다. 원재료인 폐지(고지)는 국내에서 쓰고 남은 것이기에 90% 정도는 국내자체에서 조달가능해요.
제지 :
펄프를 직접 생산하니 자연스레 제지업도 하겠죠. 제지의 종류는 인쇄용지, 특수지 등으로 나뉘는데요. 넓게 보면, 인쇄용지는 코팅을 했다면(도공지), 아트지이고요. 코팅을 하지 않았다면(비도공지), 백상지로 만들어져요. 아트지는 잡지, 쇼핑백 등에 쓰이고, 백상지는 종이책, 다이어리 등으로 쓰입니다. 이외에도 매트지, 스노우지 등으로 나뉘는데, 제가 포스팅한 '3분만에 제지업 정리'를 참고하면,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할 수 있을거에요.
연구실적으로 보는 무림P&P의 현 주소 :
개인적으로 무림P&P의 연구실적과 연구계획을 보면 동사의 현 상황과 미래 비전이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같이 몇 개만 살펴볼까요.
제지의 원재료는 펄프와 폐지라고 했죠. 결국 둘 다 나무에서 오는 것인데요. 나무에는 끈저한 셀룰로스라는 고분자가 들어있는데요. 탄성력이 있기에, 우레탄, 고무, 메모리폼, 음식식감첨가제 등으로 이미 널리 쓰이고 있어요. 나무에서 나왔다보니, 셀룰로스가 친환경으로 각광을 받고 있어요. 그래서, 이를 나노단위로 더 고분자화 시켜서 기존 플라스틱 포장재 같은 것을 대체하려는 움직임을 R&D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FLnOj/btsbHjN3uBr/5HypBrv0GcEyCPvqtTWll0/img.png)
또한, 앞서 표백화학펄프에서 설명했듯, 펄프를 화학처리 하는 과정에서 리그닌(흑액)이라는 불순물이 생긴다고 했죠. 이를 증기원으로 사용해서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지역난방 사업 등을 동사가 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점차, 에너지 자국안보가 중요해지면서 열에너지를 생산하는 리그닌을 더 대량생산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요.
![](https://blog.kakaocdn.net/dn/dtqLkJ/btsbEhDioGd/ylKdncbzko6pMkIYfw2m5K/img.png)
무림P&P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