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온그룹, KT향 AI기가지니 만든 주인공은 바로 나야나 (쉽게설명!)

가온그룹

OTT(54.6%, 셋톱박스, AI셋톱박스=음성인식+AP Router+셋톱박스), 네트워크장비(45.4%, AP Router, Wifi Repeater, Gateway, PON), 자회사 케이퓨처테크(XR기기+로봇)
· OTT : 셋톱박스(Set Top Box), AI 셋톱박스(스피커+셋톱박스+무선공유기 한 번에 해결)
*셋톱박스 : IPTV, 케이블TV,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채널들이 자체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을 송출하면, 이를 디지털신호로 전환하여 TV로 보이게하는 역할
· 네트워크장비 : AP Router, Wifi Repeater, Gateway, PON, xDSL
* AP(Access Point) Router : 유선LAN > 무선LAN으로 변환
* PON(Passive Optical Network) : 수동소자로 이루어져 광케이블로 전달되는 전자를 최단거리로 지나갈 수 있게 전자를 분배
* xDSL(Digital Subscriber Line)
· 자회사 케이퓨처테크 : XR기기, 로봇

단위 : 백만원

기회
· AI적용한 네트워크장비
· KT향 'AI스피커-셋톱박스-무선공유기(AP, Access Point)' 프리미엄 디바이스 공급전망 > OPM 상승 가능성  

리스크
· NAND, SDRAM이 매출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큼 > DRAM 가격에 따라 수익성 좌우
· 유통주식수 중 CB 9.7% 오버행이슈 > 8,459원으로 전환청구 지금부터 가능(23년 상반기)



업데이트 :



사업별 매출 비중 + 국내외 비중 :


AI단말기 vs. 셋톱박스 마진 비교 : 동사는 점차 KT향으로 AI 셋톱박스 납품 증가 중


주주구성(23.3월 기준) :




가온그룹

가온그룹은 OTT, 네트워크장비, XR기기+로봇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업체입니다. 언뜻 이것저것 다 하나 싶지만, 결국 통신기술이 접목되는 사업을 주로 하고 있다고 이해하면 돼요. 우선, OTT는 Over The Top으로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셋톱박스(Set Top Box)가 있어요. 셋톱박스는 위성방송, 케이블TV, IPTV 같은 유료방송채널들이 자사 네트워크로 방송을 송출하면 이를 디지털로 전환하여 TV로 보여주는 역할을 하죠. 최근에는 AI셋톱박스로 셋톱박스로 WIFI도 이용하고 음성인식도 가능해졌습니다. 네트워크장비로는 AP Router(유선LAN > 무선LAN 변환), WiFi Repeater(와이파이 증폭), Gateway(서로 다른 네트워크 연결), PON(Passive Optical Network, 광케이블 최단거리 형성) 등이 있어요. 또한, 자회사 케이퓨처테크를 통해 XR기기, 로봇 시장에도 진출한 상태입니다.


1. OTT(Over The Top) : 셋톱박스, AI셋톱박스


  가온그룹은 셋톱박스를 KT향으로 납품을 해왔었는데요. 셋톱박스(Set Top Box)는 IPTV, 케이블TV, 위성방송과 같은 유료방송 사업자들이 자체보유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을 송출하면 이를 디지털신호로 전환을 해서 TV로 보여주는 역할을 해요. 주로, 인터넷과 TV를 결합한다고 할 때 TV는 셋톱박스를 의미하죠. 유로방송채널을 보여주니깐요. 다만, 개인 스마트폰의 사용량 증가와 넷플릭스 같은 OTT(Over The Top) 스트리밍업체들의 급격한 성장으로 TV를 보는 시청자들이 줄었고 자연스레 셋톱박스의 이용량도 줄어들게 되었죠.

All In One Set Top Box : 'AI스피커- AI음성인식-무선공유기'가 올인원

  그렇다고 가만히 있지는 않고 있어요. 셋톱박스에 AI기술을 적용해서 맞춤형 채널정보를 제공해주기도 합니다. 또한, OTT사업자와 제휴를 해서 셋톱박스를 통해 OTT용 컨텐츠를 TV에서도 구현하는 사업도 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LG유플러스가 넷플리스와 손잡고 본인의 셋톱박스에 OTT를 실었죠. 뿐만 아니라 점차 OTT도 개인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나가고 있어요.

2. 네트워크 장비 : Broadband CPE(AP Router, WiFi Repeater, Gateway)


  인터넷 없는 세상은 상상할 수 없죠.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인터넷을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네트워크망이 잘 깔려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네트워크망끼리 잘 소통하기 위한 네트워크장비가 서포트하고 있기 때문이죠. 가온그룹은 AP Router, WiFi Repeater, Gateway 등을 만들고 있어요. AP Router는 Access Point의 약자로 유선망을 무선망으로 접근 (Access)할 수 있도록 길을 터주는(Router) 역할을 하죠. Wifi Repeater는 더 넓은 Wifi Zone을 형성하기 위해 계속해서 Wifi를 증폭시키는 것이고요.  

네트워크 장비 / 출처 : 가온그룹


3. XR기기 & 로봇 플랫폼 :


  가온그룹은 자회사 케이퓨처테크를 통해 XR글래스 & 로봇 통합 플랫폼 시장에도 진출을 했어요. 실제로, 군부대 특수훈련용으로 5G XR글래스를 납품한 이력이 있어요. 무엇보다 XR글래스를 만들려면 광학기술이 중요하겠죠. AI를 통한 광학솔루션으로 해상선박, 스마트팩토리 등에도 진출한 상태입니다. 로봇시장에도 진출한다고 선언은 했지만 가시적인 성과가 나온 상태는 아니에요. 다만, 서빙로봇 같은 몇 개의 로봇을 출시한 상태이기는 합니다(23년 상반기 기준)

자회사 케이퓨처테크의 XR글래스 & 로봇


연구실적으로 보는 가온그룹의 현 주소 :


  개인적으로 가온그룹의 연구실적과 연구계획을 보면 동사의 현 상황과 미래 비전이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같이 몇 개만 살펴볼까요.

  가온그룹은 가장 최근에 네트워크장비 R&D에 집중한 것을 알 수가 있는데요. AP Router에 WiFi7 기술을 접목한 것을 알 수 있어요. AP는 Access Point의 약자로 유선LAN을 무선망으로 길(Router)을 터주는 역할을 하죠. 자회사 케이퓨처테크를 통한 XR 디바이스도 계속 연구개발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셋톱박스가 단순히 IPTV, 케이블TV, 위성방송 같은 유료방송채널들의 데이터를 TV로 보여주는 것만 아니게 됐죠. 셋톱박스가 TV 같이 큰 디스플레이를 사용한다는 것의 아이디어를 착안해 한참 코로나가 유행시기(2020~2022년) 원격의료도 접목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온그룹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