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데이터

플리토, 언어데이터 전세계에 판매 중인 것을 숫자로 증명 중(쉽게설명!)

플리토 사업 

데이터판매(74%,언어수집=집단지성or언어전문가-분류-판매=B2B,B2C), 플랫폼서비스(26%, 번역=텍스트,이미지,영상) /  경쟁력 : 25개국어서비스

1. 데이터판매 : 언어수집(집단지성 or 언어전문가)-분류-판매(B2C, B2B) > 제품s :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 집단지성 : 다수 언어번역 참여자+검수자 for 언어데이터 생성 

----------------------------------

2. 플랫폼서비스 : 실시간 번역, 이미지 번역, 영상자막 번역 등

 

23년 연간기준 / 단위 : 천원

 

 

 

기회

·

·

 

리스크

·

·

 

 


 

 

업데이트

 

 

주주구성(24.3월 기준) : 

 

 

 


 

 

플리토 

 

 

1. 데이터 판매

 

  플리토는 '언어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수집하고 가공하여 판매하는 일을 하고 있어요. 동사에게는 '데이터 수집'이 굉장히 중요해요.데이터가 있어야 가공을 할 수가 있으니깐요. 그동안은 전문번역가가 참여를 하여 언어데이터를 생성했어요. 다만, 정확성은 높을지라도 데이터수집량의 한계가 뚜렸해어요. 그래서, 동사는 일반인을 포함시켜 집단지성으로 언어데이터를 생성중입니다. 예를 들면, 특정 문구를 주고 번역을 시키는 것이죠. 이에 대한 보상으로 실제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지급하죠. 언어데이터 생성자의 데이터정확성은 또 다른 '언어검수자'에게 검수받아요. 즉, 여러 참여자가 언어도 생성하며 서로 검수도 하는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죠. 

 

  이렇게 생성된 언어데이터를 동사가 목적에 맞게 최종적으로 분류합니다. 예를 들면, 일상대화데이터이면 '일상대화' 카테고리에 들어가는 것이죠. 그 이후 일상대화언어데이터를 필요로하는 업체에 판매를 하는 구조인 것이죠.

 

 

 

 

정리 

데이터판매 : 언어수집(집단지성 or 언어전문가)-분류-판매(B2C, B2B) > 제품s :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 집단지성 : 다수 언어번역 참여자+검수자 for 언어데이터 생성 

 

 

 

2. 플랫폼서비스

 

 

  동사는 데이터를 집단지성, 언어전문가를 통해 언어데이터 생성-검수를 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했죠. 이렇게 구축한 데이터를 판매하는 것을 '데이터판매'라고 부릅니다. 또한, 동사는 데이터판매 뿐만 아니라 동사의 웹(Web), 앱(App)에서 실시간 번역서비스, 이미지 해석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때, 수요자가 사용료를 지불하게 됩니다. 

 

정리 

플랫폼서비스 : 실시간 번역, 이미지 번역, 영상자막 번역 등

  

 

 

연구실적으로 보는 플리토의 현 주소

 

  개인적으로 플리토의 연구실적과 연구계획을 보면 동사의 현 상황과 미래 비전이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같이 몇 개만 살펴볼까요. 

 

  플리토는 언어데이터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업체이기에 'LLM(Large Language Model)'에 가장 특화되어있어요. LLM이란 결국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방대한 언어데이터 속에서 특정 문맥에 대해 가장 관련이 높다고 생각하는 데이터를 내보내는 것이죠. 예를 들면, 날씨를 물어보면 날씨와 관련한 데이터를 내보내겠죠. 동사는 번역플랫폼에서 LLM을 적용하여 좀 더 정확한 번역서비스를 개발해냈다고 공시하고 있어요. 

 

 


 

 

플리토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