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CT/IDC,Cloud,CDN,IXP

에스피소프트, 데이터관련 수혜 모르겠으면 이 업체가 하는 일 보세요(쉽게설명!)

에스피소프트 사업 

SPLA(62%, Server=SQL, Windows, CIS, Office), Cloud(24%, Storage, Encoding, CSP, IDC, CDN 등), Grid-CDN(11%, 데이터전송 with 1개 네트워크 from 분산된 CDN), 데스크톱 가상화(3%, 업무가능 anywhere) / 모회사 : 케이아이엔엑스(IDC, Cloud) / 경쟁력 : Grid-CDN, VDI 

1. SPLA(Service Provider License Agreement) : Microsoft 라이센스 > 종류 : SQL Server(데이터베이스관리), Windows Server(서버, 파일, 스토리지, 네트워킹 관리), CIS Suite(Windows Server 관리), Office 등 

* Server OS : S/W for 서버관리 전용 앱(App) 구동 

-----------------------------

2. 클라우드(Cloud) : Storage(데이터입출력), 동영상인코딩(웹or앱 to IDC), CSP, IDC, 스티리밍 CDN(콘텐츠 분산저장&전송)

-----------------------------

3. Grid-CDN(Contents Delivery Network) + 저작권보호: 데이터 전송 with 하나의 네트워크 from 분산된 CDN 

*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 text, image, video

-----------------------------

4. 데스크톱 가상화(VDI,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 업무가능 Anywhere  

 

 

23년 연간기준 / 단위 : 천원

 

 

기회

·

·

 

리스크

·

·

 

 

 


 

 

업데이트

 

 

주주구성(24.3월 기준) : 

 

 

 


 

 

에스피소프트 

 

 

 

1. SPLA(Service Provider License Agreement) : Microsoft 라이센스 

 

  에스피소프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서버 OS' 라이센스를 국내에서 유통판매하는 것이 주력이에요. OS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죠.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OS가 카카오톡, 유튜브 등 다양한 앱을 구동시켜주는 것과 같아요. 다만, 서버 OS는 서버관련 앱(App)들을 구동시켜주는 것인데 이를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했어요. 서버(Server)란 웹 or 앱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내주는 기능을 해요. 그러면, 데이터 관리가 필요하겠죠. 서버에 데이터가 있으니깐요. 그래서, 이러한 서버를 다루는 것을 '서버 OS'라고 부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서버 OS 종류는 SQL Server(데이터베이스 관리), Windows Server(서버, 파일, 스토리지, 네트워킹관리 등), CIS Suite, Office 등이 있어요.

 

 

 

정리 

SPLA(Service Provider License Agreement) : Microsoft 라이센스 > 종류 : SQL Server(데이터베이스관리), Windows Server(서버, 파일, 스토리지, 네트워킹 관리), CIS Suite(Windows Server 관리), Office 등 

* Server OS : S/W for 서버관리 전용 앱(App) 구동 

 

 

2. 클라우드(Cloud)

 

  에스피소프트는 클라우드(Cloud) 서비스를 판매하기도 해요. 클라우드란 기존의 유휴서버(일하고 있지않는 서버)들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인데요. 특히, 동사는 스토리지(Storage) 비중이 높아요. 스토리지란 말 그대로 단순한 '데이터 저장'을 의미해요. 구체적으로 동사의 데이터센터에 있는 SSD(NAND기반)카드에 거래처의 데이터를 비휘발성으로 저장하는 것이죠. 그 외로도 동영상 인코딩(영상전송 from 웹 or 앱 to 데이터센터), IDC(데이터센터 운영), CDN(컨텐츠 분산전송) 등이 있어요.

 

클라우드 4종류 : On-Premise, Private, Public, Hybrid

 

 

정리

클라우드(Cloud) : Storage(데이터입출력), 동영상인코딩(웹or앱 to IDC), CSP, IDC, 스티리밍 CDN(콘텐츠 분산저장&전송)

 

 

3. Grid-CDN(Contents Delivery Network) :

 

  Grid-CDN이란 이름 그대로 CDN을 그리드(Grid, 분산연결)화 시킨 것인데요. CDN이란 Contents Delivery Network의 약자에요. 즉, 콘텐츠(text, image, video)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킹이죠. 영상을 전송할 때는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병목현상이 생길 수가 있어요. 그래서, 콘텐츠 데이터의 최종 사용처 근처에 분산을 시켜놔서 병렬적으로 빠르게 보내는 것이 목적이에요. 여기서, Grid-CDN의 역할을 이렇게 분산된 콘텐츠데이터들을 한 군데로 모아서 전송하는 것입니다. 

 

 

 

정리 

Grid-CDN(Contents Delivery Network) : 데이터 전송 with 하나의 네트워크 from 분산된 CDN 

*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 text, image, video

 

 

연구실적으로 보는 에스피소프트의 현 주소

 

  개인적으로 에스피소프트의 연구실적과 연구계획을 보면 동사의 현 상황과 미래 비전이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같이 몇 개만 살펴볼까요. 

 

  에스피소프트는 신사업으로 '데스크톱 가상화(VDI,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를 시작했어요. 데스크톱은 PC업무를 보는 곳이죠. 이를 가상화 했다는 것은 사무실에 있는 데스크톱이 아니더라도 다른 곳에서 똑같이 업무를 볼 수 있게 만들었다는 의미에요. 즉, 데스크톱 가상화란 어디서든 업무PC와 동일한 환경에서 일을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에스피소프트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