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제이링크 사업
Conveyor(38%, 컨베이어벨트), Loader & Unloader(21%, PCB 적재 & 수납), Buffer(14%, 장비간 시간최적화), Laser Marking(17%, PCB 마킹 for PCB추적), Rounter(2%, 컷팅 for 완성품 PCB), 기타(8%)
1. SMT 스마트공정장비 : 자동화장비 for SMT공정 > 구성품 : Conveyor(컨베이어벨트), Loader & Unloader(PCB 적재 & 수납), Buffer(장비간 시간최적화), Laser Marking(PCB 마킹 for PCB추적), Rounter(컷팅 for 완성품 PCB)
기회
·
·
리스크
·
·
업데이트 :
주주구성(24.10월 기준) :
와이제이링크
와이제이링크는 SMT(Surface Mount Technology) 장비를 만드는 업체에요. SMT란 Surface Mount Technology의 약자로 영어 그대로 '표면실장기술'이란 뜻이죠. 즉, PCB 위에(=표면) 필요한 소자들을 올리고(=실장) 이송하고 검사하는 등 모든 기술을 의미하죠.
SMT공정은 일반공정과 자동화공정이 있어요. 일반공정은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생산공정을 의미하죠. 일반공정은 다음과 같아요. 'Loader(PCB기판 공급) > Screen Printer(납 도포) > SPI(납 도포상태 검사) > Chip Mounter(부픔 장착 on 기판) > Reflow Oven(납 경화작업) > AOI(부품 실장상태 검사) > Unloader(작업완료된 PCB기판 수납)'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SMT 일반공정장비의 한계는 서로 '자동화 연결'이 되어있지 않다는 것이에요. 이러면, 생산성이 떠러지겠죠. SMT 장비들간 자동화를 시킨 것이 'SMT 스마트공정'입니다. SMT 스마트공정은 Loader & Unloader(적재, 수납), Conveyor, Buffer(장비이동시간 최적화), PCB추적장비, SMT 후공정장비로 이루어져 있어요. 구성품을 보면 알겠지만, 장비들간 호환을 위해 적재+수납, 이동, 이동시간 최적화, PCB추적장비들이 들어가는 것이죠.
정리
SMT 스마트공정장비 : 자동화장비 for SMT공정 > 구성품 : Conveyor(컨베이어벨트), Loader & Unloader(PCB 적재 & 수납), Buffer(장비간 시간최적화), Laser Marking(PCB 마킹 for PCB추적), Rounter(컷팅 for 완성품 PCB)
연구실적으로 보는 와이제이링크의 현 주소 :
개인적으로 와이제이링크의 연구실적과 연구계획을 보면 동사의 현 상황과 미래 비전이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같이 몇 개만 살펴볼까요.
와이제이링크는 'Reel Tower'를 직육면체형으로 개발하여 상용화시켰어요. Reel Tower는 SMD를 담아놓는 용기인데요. SMD는 Surface Mount Device의 약자로 '표면실장부품'을 의미해요. 즉, SMT가 전자부품(칩, 저항기, 인덕터) 등을 PCB위에 올리는 기술이라고 했죠. 이러한 전자부품을 SMD라고 부르는 것이죠. SMT 장비들이 SMD를 실장하기 위해서는 가까이 SMD를 보관하고 있는 타워(용기)가 필요하겠죠. 최대한 용기에 SMD가 많이 들어갈 수록 용기교체시간을 절약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어요. 그래서, 아래 동사의 연구실적에서는 기존 원통형 SMD 타워대비 직육면체로 30% 이상 공간효율성을 달성했다고 나와있습니다.
와이제이링크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
'반도체_후공정장비 > SMT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성, PCB장비 납품 + 2차전지 동박장비까지? 왜 이제알았을까..(쉽게설명!) (1) | 2023.04.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