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신/위성체

루미르, 국내 몇 안되는 위성체 제작 업체

루미르 사업 

위성제조(77%, 탑재체=SAR+영상자료처리장치, 본체=컴퓨터+자세제어기), 위성서비스(1%, 데이터판매=지구관측+재난재해+도시변화+군용 등), 민수장치(23%, 엔진밸브 for 선박) / 거래처 :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공공기관)

1. 위성체 : 본체(탑재컴퓨터, 자세제어기), 탑재체(SAR, 영상자료처리장치)

- SAR(Synthetic Aperture Radar) : 전파데이터 합성(Synthetic) from 조리개 레이더 > 효과 : 큰 안테나 장착한 것 같은 효과 > 종류 : C-Band(4~8GHz) SAR, X-Band(8~12GHz) SAR(고정밀 영상용) 

- 영상자료처리장치 : 데이터 전송 to 지상국 after 고용량 데이터 압축 from 지구관측 

-------------------

2. 위성서비스 : 지구관측(기상정보, 도시변화, 재난재해, 군사, 인터넷 등) 

-------------------

3. 민수장치 : 엔진 밸브 for 선박

- 엔진 밸브 : 유체 조절 to 엔진 

 

 

23년 연간 기준 / 단위 : 천원

 

기회

·

·

 

리스크

·

·

 


 

업데이트

 

주주구성(24.10월 기준) : 

 

 

 


 

 

루미르 

 

인공위성 : 위성체 + 발사체 

 

  루미르는 인공위성에 탑재되는 위성체를 만들고 위성체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위성서비스로 판매하는 사업을 하고 있어요. 인공위성의 구성을 먼저 알면 이해하기 쉬워요. 아래 그림을 보면, 인공위성은 위성체와 발사체로 먼저 나뉘어집니다. 위성체는 우주에서 떠다닐 녀석이고요. 발사체는 이름 그대로 위성체를 우주에 쏘아올리기 위한 발사장치에요. 루미르는 여기서 '위성체'를 제작하고 있는 것이죠. 

 

 

 위성체 : 본체 + 탑재체

 

  위성체는 다시 본체와 탑재체로 나뉘어지는데요. 본체는 위성의 운전을 담당해요. 탑재체는 지구관측에 필요한 각종 장비들이 실려있죠. 루미르는 탑재체에 들어가는 'SAR', '영상자료처리장치'를 제작해요. 

 

  SAR은 Synthetic Aperture Radar의 약자로 '합성 개구 레이더'로 해석해요. 위성체는 레이더(전자파)로 지구와 통신을 하기 때문에 레이더라는 이름이 붙었어요. 앞에 합성 개구(Synthetic Aperture)는 조리개로부터 얻은 수 많은 전파데이터들을 한 번에 합성하는 역할을 해요. 그래서, 합성 개구라고 부르는 것이죠. 이는 작은 안테나를 위성체가 달고 있어도 전파데이터를 합성하니 큰 안테나를 장착한 효과를 얻을 수 있죠. 

 

 

  전파는 파동(떨림)이죠. 1초 동안 얼마나 파동이 주기적으로 일어났는지를 표시하는 것이 헤르츠(Hz)입니다. SAR 역시 전파(레이더)를 이용하니 헤르츠의 개념이 중요해요. 대표적으로 동사의 제품은 'C-Band SAR', 'X-Band SAR'이 있어요. C-Band는 4~8GHz, X-Band는 8~12GHz 범위를 나타내는데요. 더 많이 파동이 일어나는 X-Band가 좀 더 세밀하게 지구관측이 가능해요. 즉, 헤르츠가 높을 수록 더 고퀄리티의 영상을 만들 수가 있는 것이죠. 다만, 파동간 간격이 좁고 에너지가 강하기 때문에 장거리용으로는 부적합해요.  

 

 

'영상자료처리장치'를 만들기도 해요. 영상자료처리장치는 지구관측으로 부터 얻은 고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압축 저장하여 지상국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해요. 

 

 

정리 

위성체 : SAR, 영상자료처리장치

- SAR(Synthetic Aperture Radar) : 전파데이터 합성(Synthetic) from 조리개 레이더 > 효과 : 큰 안테나 장착한 것 같은 효과 > 종류 : C-Band(4~8GHz) SAR, X-Band(8~12GHz) SAR(고정밀 영상용) 

- 영상자료처리장치 : 데이터 전송 to 지상국 after 고용량 데이터 압축 from 지구관측 

 

 

위성서비스

 

  인공위성에서 지구관측을 하여 데이터를 취득하면, 하나의 '자산'이 되겠죠.이러한 데이터 자산을 상용화하는 것이 '위성서비스'에요. 지구에서 일어나는 일은 모두 위성서비스에 포함될 수 있어요. 예를 들면, 재난재해관측, 도시변화관측, 기상관측, 군사용목적 등 다양하죠. 

 

 

 

정리

위성서비스 : 지구관측(기상정보, 도시변화, 재난재해, 군사, 인터넷 등)

 

 

 

연구실적으로 보는 루미르의 현 주소

 

  개인적으로 루미르의 연구실적과 연구계획을 보면 동사의 현 상황과 미래 비전이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같이 몇 개만 살펴볼까요. 

 

 

  인공위성의 핵심 중 하나는 '경량화'에요. 인공위성 산업에서 가장 기술적 난이도와 비용이 높은 것이 '발사체사업'입니다. 중력이 지배하는 지구 대기권을 뚫고 위성체를 쏘아올리는 것이 쉽지않다는 이야기이죠. 발사체에 실려서 지구에서 우주로 올라가는 위성체는 경량화될 수록 발사성공률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루미르의 아래 연구실적에서 볼 수 있듯이 '초소형'이라는 단어를 볼 수가 있어요. 이는 인공위성제작자에게 항상 따라다니는 수식어와 같아요. 동사 역시 탑재체에 들어가는 SAR(합성개구레이더)를 초소형화 시켜서 고퀄리티의 영상품질을 획득하는 목적으로 연구개발을 투자하고 있어요. 

24년 반기 기준


 

루미르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