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보브반도체 사업
팹리스(100%, MCU=Micro Controller Unit=단일 기능=가전제품) / 경쟁력 : 자회사 윈팩(PKG & Test), 저전력 MCU(AI 적용), 아날로그IP보유(MCU 적용) / R&D : MCU(Touch, Power, Motor) / 거래처 : 삼성전자, LG전자, 위니아, 샤오미, 샤프
1. 팹리스(Fabless) : MCU 설계
MCU(Micro Controller Unit) : 단일 기능을 위해 최적화한 IC > 사용처 : 가전제품(전자레인지 타이머조절, 인덕션 온도조절), 리모컨, 스마트폰 등
------------------------------
2. 자회사 윈팩 : PKG & Test
기회
·
·
리스크
·
·
업데이트 :
주주구성(24.1월 기준) :
어보브반도체
어보브반도체는 팹리스(Fabless) 업체로 아날로그IC인 MCU(Micro Controller Unit)을 전문적으로 설계하는 업체에요.
MCU는 Micro Controller Unit의 약자인데요. 즉, 작은(Micro) 제어(Controller) 역할을 하는 칩(Unit)이라 생각하면 돼요. CPU보다는 작은 개념입니다. 예를 들면, 스마트TV에서 CPU는 영상을 보여줌과 동시에 인터넷, 음악 등 여러 가지 멀티태스킹을 할 수가 있어요. 반면에, MCU는 단일 기능을 하는데 특화되어있는데요. 전자레인지의 타이머조절, 인덕션 온도 조절 등 한 가지의 기능에 집중하고 있죠.
어보브반도체는 MCU에 적용되는 아날로그IP를 갖고 있어요. 여타 다른 팹리스 업체들은 IP 회사들에게 라이센스, 로열티를 지불하며 반도체 설계를 해야하지만, 동사는 자체적으로 IP를 갖고 있기에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있죠.
정리
팹리스(Fabless) : MCU 설계
MCU(Micro Controller Unit) : 단일 기능을 위해 최적화한 IC > 사용처 : 가전제품(전자레인지 타이머조절, 인덕션 온도조절), 리모컨, 스마트폰 등
연구실적으로 보는 어보브반도체의 현 주소 :
개인적으로 어보브반도체의 연구실적과 연구계획을 보면 동사의 현 상황과 미래 비전이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같이 몇 개만 살펴볼까요.
반도체가 들어가 있지 않은 사물을 찾기 힘들 정도로 반도체는 어디에나 쓰이고 있어요. 하지만, 그 만큼 전력을 많이 소비하고 있고 바로바로 충전의 필요성이 생기는데요. 특히, 고속으로 충전하면 더 좋겠죠. MCU가 여기에도 개입할 수 있어요. 전류가 흘러들어왔을 때, 빠르게 배터리충전을 하는 제어를 할 수가 있겠죠. 이를 Power MCU라고 불러요.
어보브반도체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
'반도체제조사 > Fabl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온텍, XR기기 팹리스업체 + 패널까지 직접 제조(쉽게설명!) (0) | 2024.07.05 |
---|---|
픽셀플러스, 전장향이미지센서 팹리스 업체(쉽게설명!) (1) | 2024.06.12 |
이미지스, 스마트폰 터치+햅틱 팹리스인데,, 이미지 IC도 있었네?(쉽게설명!) (1) | 2024.03.25 |
제주반도체, 팹리스 LPDDR4+NAND MCP로 온디바이스 AI, 전장향갑니다(쉽게설명!). (0) | 2024.03.14 |
가온칩스, 팹리스업체에 디자인솔루션제공. 삼성파운드리와 함께가는 중(쉽게설명!) (0) | 2024.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