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디에스팜 사업
외용제ODM(90%, 카타플라스마74%=파스 for 넓은 부위, 플라스타16%=파스 for 작은 부위), 전문의약품(10%, 고혈압, 당뇨, 소화제, 항생제 등)
1. 외용제 OEM/ODM : '바깥 외', '쓸 용', '약 제' > 뜻 : 외부에 사용하는 약 > 종류 : 카타플라스마(움직인 적은 부위), 플라스타(움직임 잦은 부위) > 사용처 : 소염 진통, 관절염, 근육통 등
* 약물전달시스템(DDS) : Drug Delivery System
* 경피 약물전달시스템(TDDS) :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 Transdermal : Trans(통과하다) + Dermal(피부) > 뜻 : 피부를 통과하다
------------
2. 전문의약품 : 고혈압, 당뇨, 소화제, 항생제 등
기회
·
·
리스크
·
·
업데이트 :
주주구성(24.9월 기준) :
티디에스팜
티디에스팜은 '외용제'를 만드는 OEM/ODM업체에요. 외용제란 한자로 '바깥 외', '쓸 용', '약 제'란 뜻인데요. 즉, '외부에 사용하는 약'이라는 뜻이에요.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파스이죠. 외부에서 약물을 전달한다고 해서 좀 있어보이게 '약물전달시스템(DDS)'라고 부릅니다. DDS란 'Drug Delivery System'의 약자로 이름 그대로 약물 전달 시스템이란 뜻이죠.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경피 약물전달시스템'이라고 불러요. 경피약물전달시스템(TDDS)은 'Transdermal Drug Dellivery System'의 약자에요. Transdermal은 Trans(통과하다) + Dermal(피부)의 합성어로 '피부를 통과하는 약물전달시스템'인 것이죠.
정리해보면, 티디에스팜은 외부(피부)에 붙이는 약을 제조해요. 이러한 시스템을 약물전달시스템(DDS)라고 부르죠. 특히, 동사는 피부를 통해서 약물을 전달한다고 하여, '경피 약물전달시스템(TDDS)'를 주력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외용제도 2가지 종류가 있어요. 카타플라스마(Cataplasma), 플라스타(Plaster)이죠. 두 개 모두 소염 진통, 관절염 치료 등에 사용됩니다. 다만, 등, 넓적다리 처럼 넓고 움직임이 적은 부위는 '카타플라스마'를 사용해요. 반면, 작은 면적에 움직임이 잦은 무릎, 팔꿈치 등 관절쪽에는 '플라스타를 사용하죠.
정리
외용제 OEM/ODM : '바깥 외', '쓸 용', '약 제' > 뜻 : 외부에 사용하는 약 > 종류 : 카타플라스마(움직인 적은 부위), 플라스타(움직임 잦은 부위) > 사용처 : 소염 진통, 관절염, 근육통 등
* 약물전달시스템(DDS) : Drug Delivery System
* 경피 약물전달시스템(TDDS) :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 Transdermal : Trans(통과하다) + Dermal(피부) > 뜻 : 피부를 통과하다
연구실적으로 보는 티디에스팜의 현 주소 :
개인적으로 티디에스팜의 연구실적과 연구계획을 보면 동사의 현 상황과 미래 비전이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같이 몇 개만 살펴볼까요.
티디에스팜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
'일일 리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3.08) 미국 증시 핵심 요약 (1) | 2025.03.08 |
---|---|
[24.11.29] 주식 리포트 쉽게 정리 (4) | 2024.11.29 |
[24.11.28] 주식 리포트 쉽게 정리 (3) | 2024.11.28 |
[24.11.27] 주식 리포트 쉽게 정리 (3) | 2024.11.27 |
[24.11.22] 주식 리포트 쉽게 정리 (3) | 2024.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