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켐 사업
OLED소재(77%, 도판트=호스트의 엑시톤 에너지흡수 for 최종발광)), 촉매(10%, 메탈로센 for PE, PP 업그레이드), 기타(13%)
1. CDMO : OLED소재(도판트), 촉매(메탈로센 for PE, PP 업그레이드), 의약품
* 도판트(Dopant) : 호스트(Host)의 엑시톤 에너지 흡수 for 최종발광
* OLED소재 생산3단계 : 분자 설계(원천소재업체) > 합성(CDMO업체) > 성능 검증
기회
·
·
리스크
·
·
업데이트 :
주주구성(24.10월 기준) :
한켐
한켐은 유기화합물 소재를 기반으로한 'CDMO(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 위탁개발생산)' 사업을 하고 있어요. 보통 CDMO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하는 것 처럼 '의약품'을 만드는 것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요. 한켐 역시 의약품을 만들기도 하지만, 석유화학촉매, OLED소재(발광층, 정공주입층) 등도 만들고 있어요. 특히, OLED 소재가 동사의 주력입니다.
유기화합물이란 유기물을 기반으로 합성한 것을 의미하는데요. 유기물은 한자로 '있을 유', '구조 기', '물체 물'이란 뜻이에요. 즉, 구조가 있는 물체를 의미하죠. 가장 대표적으로 생명체가 지닌 '탄소'가 구조물이 복잡하고 유연하기 때문에 탄소가 들어있는 물체를 보통 '유기물'이라고 불러요. 구조가 단순하고 유연하지 못한 것을 '무기물'이라고 부르죠. 이러한 유기물을 화합하여 동사는 OLED소재, 촉매, 의약품 등을 만드는 것이에요.
OLED 소재를 생산하는데는 3단계를 거쳐요. '1. 분자 설계, 2. 합성, 3. 성능 검증'이죠. 이중 한켐은 2단계인 '합성'을 위주로 하고 있어요. 원천소재개발업체가 분자설계를 하면 '설계도'가 나오겠죠. 이 설계도를 인계받아 분자를 합성하는 것이 동사의 CDMO 사업입니다.
정리
CDMO : OLED소재(도판트), 촉매(메탈로센 for PE, PP 업그레이드), 의약품
* 도판트(Dopant) : 호스트(Host)의 엑시톤 에너지 흡수 for 최종발광
* OLED소재 생산3단계 : 분자 설계(원천소재업체) > 합성(CDMO업체) > 성능 검증
연구실적으로 보는 한켐의 현 주소 :
개인적으로 한켐의 연구실적과 연구계획을 보면 동사의 현 상황과 미래 비전이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같이 몇 개만 살펴볼까요.
한켐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
'디스플레이소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이팩스, 전자재료용 테이프로 최신산업 다 들어갑니다(쉽게설명!) (0) | 2024.08.02 |
---|---|
이녹스첨단소재, OLED+반도체후공정 수혜주 맞습니다 (쉽게설명!) (0) | 2024.02.08 |
덕산네오룩스, OLED소재로 애플의 수혜주가 분명해요(쉽게설명!) (1) | 2024.02.07 |
피엔에이치테크, OLED소재 CPL, HTL 넘어서 Host, Prime까지 갑니다(쉽게설명!) (0) | 2023.09.21 |
이녹스첨단소재, OLED, FPCB, 반도체패키지, 그래 너 다해라! (쉽게설명!) (1)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