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엔피, 디지털광고가 본업인데 성장은 XR콘텐츠를 지켜보자 (쉽게설명!)

엔피 사업 

BTL(43%, 오프라인 광고콘텐츠 기획&제작), ATL(3%, 온라인), 디지털마케팅(49%, 디지털광고), XR콘텐츠(5%, XR Stage=카메라,LED,미디어서버,트래킹센서)  / 모회사 : 위지윅스튜디오(콘텐츠제작사)

1. BTL(Below The Line) : 오프라인 광고콘텐츠 기획&제작

-----------------------------------

2. ATL(Above The Line) : 온라인 광고콘텐츠 기획&제작

-----------------------------------

3. 디지털마케팅 : 디지털광고, 온라인 플랫폼 등 

-----------------------------------

4. XR 콘텐츠 : XR Stage(Camera, LED, Media Server, Tracking Sensor) 

* Camera : 피사체 촬영(ex-가수) 

* LED : 배경화면(ex- 우주공간) 

* Media Server : Camera+LED 합성(ex- 가수 in 우주) 

* Tracking Sensor : 움직임 포착(ex-가수 움직임 for XR콘텐츠반영)

 

 

 

23년 연간기준 / 단위 : 백만원

 

 

기회

· XR 시장 성장가능성 큼

·

 

리스크

· XR Stage 장비비용 비쌈(ex- 카메라, LED, 미디어서버, 트래킹센서) > 감가상각 다분

·

 

 


 

 

업데이트

 

 

주주구성(24.3월 기준) : 

 

 

 


 

 

엔피 

 

 

  엔피는 '광고콘텐츠제작사'에요. 광고콘텐츠제작사란 이름 그대로 광고를 하기 위해서 제작하는 다양한 '콘텐츠(Contents)'를 의미하죠. 동사는 오프라인, 온라인 가릴 것 없이 다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오프라인에서는 팝업스토어, 전시, 공연 등에 관련한 콘텐츠를 제작합니다. 온라인에서는 디지털광고 등을 만들죠.  

 

  엔피가 다른 업체와 다르게 주목받는 이유는 'XR'를 도입하여 콘텐츠를 만들고 있다는 것이에요. XR이란 'eXtended Reality'의 약자로 말 그대로 '확장현실'이라는 뜻이죠. 즉, 현실세계를 더 확장시키는 것을 의미해요. 예를 들면, 아티스트 콘서트는 주로 '현장에 있는 관람객'들만 시청이 가능해죠. 유튜브 같은 비디오 플랫폼으로 볼 수는 있어도 '실감'이 나지 않아요. 반면, 아티스트가 XR Stage에서 공연을 한다면, XR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디바이스(AR, VR기기 등)에서는 현장에 있는 것 처럼 실감나게 체험을 할 수가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XR Stage는 카메라, LED, 미디어 서버, 트래킹 센서 등이 있어요. '카메라'는 무대를 찍는 역할을 해요. 'LED'는 확장현실을 위한 디스플레이를 보여주죠. 카메라가찍은 영상과 LED화면을 합성하는 것이 '미디어 서버'의 역할이에요. 예를 들면, 카메라는 가수들을 찍고 있고, LED는 우주 같은 환경을 보여주죠. 이때, 가수들을 가상의 우주환경에 집어넣어 마치 우주 위에서 공연을 하는 것처럼 합성하는 것이 미디어 서버의 역할이죠. 그리고, 실시간으로 가수들의 움직임을 담아내기 위해 센싱하는 것이 '트래킹 센서(Tracking Sensor)'의 역할입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좀 더 이해하기 쉬울거에요.

  

 

 

정리 

XR Stage : Camera, LED, Media Server, Tracking Sensor 

* Camera : 피사체 촬영(ex-가수) 

* LED : 배경화면(ex- 우주공간) 

* Media Server : Camera+LED 합성(ex- 가수 in 우주) 

* Tracking Sensor : 움직임 포착(ex-가수 움직임 for XR콘텐츠반영)

 

 

 

연구실적으로 보는 엔피의 현 주소

 

  개인적으로 엔피의 연구실적과 연구계획을 보면 동사의 현 상황과 미래 비전이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같이 몇 개만 살펴볼까요. 

 

  동사의 핵심 경쟁력은 '인력'입니다. 광고기획, 제작, XR콘텐츠 모두 '사람'이 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전문적으로 CG, VFX 기술을 잘 다루는 인력확보가 최우선이죠. 

 

  XR콘텐츠가 가장 많이 쓰이는 곳은 예술계쪽이에요. 무언가 화려하게 보여주는 산업인 만큼 XR콘텐츠가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곳이죠. 아래 R&D 내역을 보면, 현대무용과 XR기술을 접목한 것을 알 수 있어요. 현대무용수가 춤을 추면, 특정 공간을 만들어내어 마치 그 특정공간에서 춤을 추는 듯한 XR콘텐츠를 만들어냈습니다. 이러한 XR Stage를 만들기 위해 많은 LED들과 카메라 들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어요. 다른 말로 하면 XR콘텐츠는 고가의 장비를 구비해야하는 장치산업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엔피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