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통/식음료

CJ제일제당, 이제는 싸지 않을까..? (쉽게설명!!)

CJ제일제당 사업

· 물류(38%) : CJ대한통운 (실적을 볼 때는 별개로 보는 것이 동사 분석용이)
· 식품(37%) : 국내(가공식품, 소재식품), 해외(슈완스=미국 냉동식품업체, 글로벌))
· 바이오 : 원재료에 영향주로 받음 (사료용 아미노산, 원당, 원맥, 대두) 국제 가격의 원가 기복에 영향을 받는다.

22년 기준



기회

· 식품 해외매출비중 증가(20년 46% > 23년 49.2%)
·

리스크
· 동사 바이오산업의 핵심은 사료용 아미노산인 '라이신' 같은 것인데, 중국 로컬업체들 등장 중
· 햇반판매 수수료인상안을 두고 쿠팡(쿠팡 판매매출액 비중 20% 이상), 롯데와의 갈등 -> 발주중단으로 이어짐
· 사료의 원재료인 아미노산 종류 중 하나 '라이신'가격 하락 + 중국돈육 가격하락 중 -> CJ제일제당 사료매출 하방압력



업데이트 :


(23.1.16 월요일) 사료의 필수 아미노산인 라이신 가격이 하락하고 있어요. 중국 돈육가격도 하락하는데, 이는 CJ제일제당의 매출액에 타격을 줄 예정입니다. CJ제일제당이 직접 라이신을 판매하기 때문이죠.



(23.1.16 월요일) CJ제일제당 쿠팡에 이어 롯데와도 햇반판매수수료 인상다툼으로 판매금지. CJ제일제당은 쿠팡에서만 햇반으로 판매매출액이 20%이상 달할 정도로 의존도 큼


매출액 꾸준히 우상향 중. 영업이익률 3~7 언저리에서 박스권 형성중

파란색 : 매출액 / 노란색 : 영업이익률

주주구성(22년말 기준) :



CJ제일제당


식품 :


CJ그룹의 모태이자 중추의 부분인 식료품 부문 (CJ이름부터가 Cheil Jedang의 약자)은 CJ가 CJ그룹이 되어 유통과 미디어를 장악할 수 있도록 한 근본으로 생물자원-바이오-식품-물류 의 선순환되는 벨류체인으로 안정적인 매출과 수익성을 보여주며 국내종합식품회사 1위자리를 견고히 지키고 있다. 국내의 경우 전년 동분기비 15%의 상승률을 보여주며
미국, 중국, 일본, 베트남, 유럽 한식 고유의 속성으로 해외 식품 시장에 진출해 있으며 해외의 경우 GSP(만두, 치킨, 가공밥, 롤, K-소스, 김치, 김) K-Food의확장과 주력인 미주의 수익성 개선세 지속으로 전년동비 23% 상승하였다.

CJ제일제당 주 식품

영업이익의 경우 주 원재료인 곡물의 가격은 올랐지만, 해외 매출의 확대와 일부 품목의 판가 반영으로 전년 동비 13%증가한 2,093억원의 이익이 발생하였다.

CJ제일제당 식품매출/영업이익률

이들이 미주에서 뛰어난 수완을 얻을 수 있는 이유 2018년 11월에 미국의 대형 식품업체인 'Schwan's'를 2조 원에인수하면서 미국 전역에 걸친 식품 생산, 유통, 인프라 및 연구개발 역량을 갖추게 되면서 이를 바탕으로 현재 미국 내 만두시장 그로서리 점유율 44%로 1위 피자 레드바론 점유율 17.6% 선점하는 쾌거를 이루었다.(2022년 3분기의 매출액만 1조에 달하는 미주에서의 점유율은 수익과 연관이 있다.)

미국시장 만두&피자 점유율

바이오 :


  식품첨가제(HumanNutrition&Health), 사료첨가제 (Animal Nutrition & Health)의 경우 공급의 안정성과, 곡물가 강세로 고판가를 유지하였으며, 셀렉타(대두유, 유기농비료, 에탄올생산 브라질 자회사)의 대두 및 대두박 가격 상승으로 인하여 전년 동분기매출 25%증가와 영업이익은 26% 증가한 1,603억원을 기록하였다. 제품별로 라이신, 셀렉타, 스페셜티, 핵산 순으로 이익 비중이 컸다.

CJ제일제당 바이오 매출/영업이익률

Feed&Care (생물자원) :


  고수익 중심인 사료혁신제품 개발 및 생산선 기반의 축산 사업으로 동남아 지역 위주의 글로벌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주로 사료/축산을 전문으로 하며 식품, 바이오와의 뛰어난 벨류체인을유지하고 있다. 2022년 원재료비 상승에 대응하여 사료 판가 인상 및 축산가 상승 등으로 매출이 전반적으로 성장하였으며 (29%) 역업이익의 경우 축산의 주 지역인 베트남과 인니(인도네시아)의 돈가 회복 및 양돈 판매량 증대로 영업 이익이 전년 동분비 94%증가한 171억원 을 달성하였다.

CJ제일제당 생물자원 매출/영업이익률

식품, 바이오, Feed&care의 경우 국내에 26개의 생산 사업장,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해외에 74 생산 사업장에서 관련 제품을 제조하고 판매하고 있다. 이들의 경우 국제 곡물가의 환율에 기복이 발생하는데 재료인 원당, 원맥, 대두, 옥수수는 [원당:호주,브라질 , 원맥: 미국,호주,캐나다, 대두,옥수수: 미국,브라질] 에서 수입한다.

CJ제일제당 원재료 매입->매출

CJ 대한통운

친숙한 이름인 CJ대한통운은 이커머스 시장의 급성장으로 e풀필먼트 시스템(판매자가 자신의 판매 물품을 물류센터에 보관하였다 바로 배송하는 방식 ex. 쿠팡)을도입했는데 기존의 물류센터들과의 합으로 AGV, AMR, 무인지게차, 로봇팔첨단기술로 무인화를 실현하며 빠르게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외 하역, 운송, 배송, 건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비중이 38% CJ제일제당의 매출액 38% 비중을 가지고 있다.(식품, 바이오, Feed&Care의 벨류체인으로 원활한 분석을 위해여 CJ대한통운의 매출은 미포함하기도 한다.)

전년분기비 9% 성장했으며영업이익은 2% 증가한 1,077억 원의영업이익이 발생하였다. 핵심 국가들의 수익 안정화와, 기업들의 수출 증가로 P&D물량이 증가 했다는 것과, 택배의 물동량은 감소하였으나 판가 인상의 영향이 매출에 좋은 결과를 나타낸 같다. 다만 택배의 물동량이 줄어 유의 사용량이 6.3% 감소하였는데비용이 25.1% 증가했다는, 고정비 부담 상승으로 영업이익은 전년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CJ제일제당 매출/영업이익률

CJ제일제당의 주요 제품 점유율 설탕이 79%, 밀가루 64%, 육가공 62%, 66%, 냉동만두 46% 매우 높은 점유율을 보여주고 있으며 건강식품 사업을 하는 CJ웰케어 주식회사와 함께 건강과-편의를 추구하며 고객의 니즈를 맞춘 가공식품을출시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비비고 브랜드의 확장을 말하며 최근 Plant Based(대체육-식물성 식품) 이용한 비비고-플랜테이블 왕교자를 출시하였으며 2017년 기준으로꾸준히 성장하는 대체육시장을 공략한 것으로 보인다.

위의 그래처럼 비비고 만두가 국내와 해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높은 만큼 CJ제일제당 경영리더 '이선호' '전체 매출의 70% 이상을 해외에서 창출하겠다'라는 말은 지켜봐야 할 것 같다.

CJ제일제당 시장 점유율



CJ제일제당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