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906)
LG생활건강, 코카콜라판매와 구강치료제 같이 팔게된 사연(ft. 기업분석 정말 쉽게 해드립니다) 주가움직임 : 22.12.09 현주가 영업이익과 격차 큼 중국향 화장품수출통계 아모레퍼시픽과 상대적 주가차이 화장품 (매출액 비중 50% 이상): 경기민감 o 1. 제품 : 훔(대부분 차지), 숨, 오휘, 빌리프에 매출액 달려있음 2. 계절적 영향 : 여름에는 화장품을 덜 쓰기에 매출액 감소 3. 중국의존도 : 왕홍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반면 중국정부가 규제나서 타격 생활용품 (HDB : Home Care & Daily Beauty) : 경기민감x / 다만, PB브랜드 많아져 경쟁심화 1. 제품 : 엘라스틴(샴푸), 페리오(치약), 샤프란(섬유유연제) 음료(Refreshment) : 경기민감 x 1. 제품(코카콜라, 스프라이트, 몬스터 에너지) 2. 배달시장의 성장은 코카콜라 성장. 원자재, 환율 1. ..
태광산업이 흥국생명 유상증자참여 논란, 쉽게 설명드립니다. (ft. 석유화학제품 파는 기업이 보험사에 투자..? + RBC 설명) 12.09일자로 태광산업(상장사)이 비상장사 흥국생명의 4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참여할 수도 있다는 소식이 있었어요. 이는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킵니다. 이에 태광산업의 2대주주인 트러스톤자산운용이 갑자기 발끈했습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흥국생명의 유상증자와 태광산업은 전혀 관련이 없다는 것이었죠. 태광산업은 석유화학제품인 폴리에스터, 아크릴원료를 주로 판매하는 회사이고 흥국생명은 보험사로 사업내용도 전혀 관련이 없죠. 그렇다면, 관련도 없는 기업에 왜 4000억원씩 돈을 투자하냐 이겁니다. 이는 트러스톤의 말이 맞습니다. 흥국생명의 지분을 단1도 태광산업은 갖고 있지않아요. 다만, 태광산업의 최대주주인 이호진씨가 흥국생명의 100% 지분을 갖고 있죠. 이는 명확히 기업과 개인으로 구별해야할 것..
3명 중 1명이 연구원인 기업, 한국콜마 기업분석 (ft. 의약품 회사로 오해할 만하다) 주가움직임 : 화장품사업(한국콜마) : 매출액 비중 50% 차지 1. 한국 화장품소비 영향 : 한국콜마주식회사 한국에 위치 / 비중 : 45% (생산가능수량 기준) 2. 중국 화장품소비 영향 : Beijing, Wuxi 해외법인 두 곳 / 비중 : 35% (같음) 3. 북미 화장품소비 영향 : 미국, 캐나다 해외법인 두 곳 / 비중 : 20% (같음) 제약사업(자회사 HK이노엔) : 한국콜마 매출액비중 40% 이상 차지 1. 압도적 내수위주 : 오송, 대소에 제조위치 2. 제약부문이 가장 큰 차지 : 내수위주(내수 : 94% / 수출 : 6% 차지) 3. 상품 : 케이캡(위식도역류질환치료), 헤르벤(고지혈증치료), 영양수액(혈액영양공급) 위주 연우(화장품용기업체) : 매출액 4%차지 넌 선택만 해. 개발..
아메리칸항공(AAL), 간단하지만 까칠한 분석(ft.9.11테러의 그 항공기 두대 맞습니다) 항공사는 다른 항공사와 협력없이는 힘들다 : 원월드 ,스타얼라이언스, 스카이팀 등등 항공사들은 동맹을 맺으려고해요. 혼자서 모든 취항지를 나를려고 한다면, 비행기가 그 만큼 많아야하고 많다고 하더라도 그에 수반되는 승무원, 정비, 공항, 그리고 환승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계산과 편의성 모두 고려해야 하기에 이 넓은 지구를 한 기업이 모두 누리기에는 턱 없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여러 동맹들이 있는데, 스타얼라이언스(아시아나항공, 유나이티드항공, 에어캐나다 등), 스카이팀(델타항공, 대한항공 등), 그리고 아메리칸항공이 속한 원월드가 있습니다. 아메리칸항공의 실제 주인은 US에어웨이즈 : 역역합병의 역사 유에스에어(USAir)라는 항공사 이름을 들어봤을지는 모르겠어요. 나름 1939년에 탄생한 기업인데, 1..
눈에 띄게 수익성이 상승하고 있는 크록스(CROX), 분석들어갑니다.(ft 정말 쉽게 설명드림) 매출액, 영업이익 모두 증가 : 그런데, 이자 비용은 왜 이렇게 증가한거야? 매출액이 눈에 듸게 많이 상승했어요. 22년 3분기까지 누적(파란색 칠함) 매출액 2.6B을 달성했는데요. 이는 작년 1.7B 대비 51.1%나 증가한 수치입니다. 다만 아쉬운 점은 판매비용이 많이 상승했다는 것이에요. 아무래도, 물류비용과 인건비가 상승하고 전반적으로 고금리 시대에 장사를 했기 때문에, 비용증가가 상당히 많이 되었습니다. 0.67B -> 1.24B으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무려 83%나 증가했죠. 그래서, 매출총이익(Gross Profit)이 매출액 51% 상승대비 30% 상승에 그쳤죠. 물론 이것도 눈에 띄는 상승입니다. 영업이익은 0.52B -> 0.63B으로 20%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어요. 사..
서핑매니아들이 만든 크록스(CROX), 주부도 동참?(ft. 미국 기업이야기, 까칠하지만 정말 쉽게 설명) 아래 사진 처럼 생긴 신발 한 번쯤은 보신적 있을 거에요. 신발에 로고가 박혀있듯이, Crocs라는 브랜드입니다. 사실, 저도 크록스를 신는 신발유저(?)로써 정말 편하고 특히 여름에는 발등 위에 뚫린 구멍으로 통풍이 되서 발냄새가 덜 나게돼요. 오늘은 생활속에서 발견하는 기업 이야기 중 Crocs( 티커명: CROX)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미국의 콜라도 주에 3명의 청년이 있었어요. 린든 핸슨, 스콧 시맨스, 조지 베덱커가 그 주인공이죠. 과학적으로도 크록스는 크록스입니다 : 악어가 물과 육지를 오고간다해서 만들어진 Crocs 물이 잘 빠져나가려고 구멍을 뚫기는 했는데, 구멍은 뭐 누구나 뚫을 수 있죠. 3명의 창업자는 자신들이 평소에 서핑하면서 신발의 헐렁거림이나 불편했던 점을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우편물 가격 단합하다 만들어진 항공사, 유나이티드항공(UAL)?(ft. 보잉으로 시작한 유나이티드항공. 정말 쉽게 설명드림) Connecting People, Uniting the World : 사람을 연결하고, 세계를 하나로 스타얼라이언스(멤버 : 루프트한자, 에어캐나다, 중국국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의 멤버 중 하나인 유나이티드항공. 본사 메인항공위치는 시카고의 오헤어(O'Hare)에 위치해있어요. NBA농구팀 시카고 불스의 홈구장 이름이 '유나이티드 센터(United Center)'라고 지어진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죠. 항공사를 볼 때마다 주목해야할 점은 메인 허브를 봐야한다는 것이에요. 그 공항에서 해당 항공사의 가장 많은 비행기가 입출국을 하기 때문이죠. 예를 들면, 델타항공 같은 경우는 조지아의 애틀랜타를 중심으로 허브를 두고 있기 때문에 카리브해에서 발생하는 허리케인이 발생할 때마다 수익성에 아주 심각한 타격을 ..
농약뿌리는 회사에서 세계최대 항공사된 기업 : 델타항공(DAL)(ft. 까칠하지만 정말 쉽게 설명드림) 처음에는 하늘에서 농약뿌렸던 회사 : 델타항공(Delta Air Lines)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농업생산량이 많은 국가가 어딘지 아시나요? 1위가 중국. 그 다음 2위가 바로 미국입니다. 중국과의 1억톤 정도의 차이가 나긴 하지만, 중국의 농산물은 대부분 자국내 소비를 위해서 쓰이죠. 인구가 14.12억(21년)이니까 미국 3.31억(21년)의 4배 정도 되죠. 미국하면 금융, 군사, 실리콘벨리를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지만, 사실 미국 하면 농업기술이 굉장히 강한 나라입니다. 세계 최대 농기계업체 '존 디어'도 여기있죠. 항공사 얘기를 해야하는데 갑자기 왜 농업이야기를 하냐구요? 델타항공이 이러한 미국의 큰 농업지대 머리 위에서 농약뿌리는 기업으로 시작을 했기때문이에요. 미국은 워낙 스케일이 크다보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