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기계

현대건설기계, 인도+브라질에서 그렇게 주문량이 많다던데? (쉽게설명+기업분석!)

현대건설기계 사업

· (핵심사업!!) 중장비 제조 및 판매 : 굴착기, 휠로더 / 수출 90%, 내수 10%
· 산업용차량(지게차)
· A/S 부품

22년 기준 / 단위 : 백만원
만든이 : LSNB



기회
· 중대형장비 위주이기에 ASP를 비싸게 판매가능.
· 신흥국 중심으로 인프라 투자 및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중장비 수요 증가
· 신흥국인 인도, 브라질 등 광산 소유국가들의 중장비 수요증가
· 사우디 네옴프로젝트, 우크라이나 전후 복구 사업 등 큰 기회 남아있음

리스크
· 일부 신흥국 제외한 전세계 도시화되어가는 와중에는 소형장비의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
·



업데이트 :


  중국의 22년 코로나봉쇄로 인한 경기둔화로 매출비중 줄어듬. 다만, 선진국인 북미, 유럽 시장 호조와 신흥국 인도, 브라질의 상승으로 수혜를 만회함.


한국 건설기계 수출액규모 추이 : 2000년 초부터 중국경기성장으로 수출액 늘어남. 다만, 그 이후 딱히 모멘텀이 없어서 횡보 중. 신흥국시장인 인도, 브라질을 지켜볼 필요가 있음,

파란색 : 매출액 / 노란색 : YoY


주주구성(22년말 기준) :


현대건설기계

출처 : 현대건설기계
현대건설기계는 현대중공업의 건설장비사업부문을 떼어내어 태어난 기업입니다. 중장비로는 굴착기, 휠로더 등이 있습니다. 동사는 적극적으로 자사제품에 ICT를 결합하여 자동제어 시스템, 운전자 중심의 편의성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선진국 시장인 미국, 유럽 비중을 점차 BRICS 국가들로 넓혀가는 중입니다.


  현대건설기계는 북미, 유럽에서 이름을 날리고 있었는데요. 점차, 신흥국들 BRIC(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이 인프라 투자와 자원투자를 하다보니 자연스레 신흥국 비중이 높아지기 시작했어요. 그래서, 현대건설기계는 다른 기계업체와 다르게 신흥국 시장을 유심히 봐야합니다.

지역별 매출액 / 출처 : 현대건설기계



건설기계 : 굴삭기, 휠로더 등

굴삭기(or 굴착기) :


  현대건설기계의 굴삭기를 보면 HYUNDAI라는 마크가 찍혀있기 때문에 확눈에 띕니다.  굴삭기는 한자로 '팔 굴(掘)', '깍을 삭(削)', '기계 기(機)'에요. 말 그대로, 파고 깍는 기계인 것이죠. 현대건설기계의 굴삭기는 중대형이 위주이기 때문에 건설인프라투자에 수혜를 받는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굴삭기(굴착기) / 출처 : 현대건설기계

휠로더(Wheel loader) :


  휠로더는 짐을 실어나르는 기계에요. 우리가 컴퓨터에서 파일이나 영상 같은 것을 받을 때 다운로드(Download)라고 하죠. 컴퓨터에서 나에게 짐을 내리는 것이기 때문에 다운로드라는 표현을 쓰는데요. 로드(Load)는 말 그대로 짐을 뜻하고 로더(Loader)는 짐을 나르는 주체가 되기 때문에, 짐나르는 기계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주로, 나무, 철강, 흙 등 건설에 필요한 것들을 나르는 것이죠.

휠로더(Wheel loader) / 출처 : 현대건설기계


산업용차량 : 지게차


  지게차는 다들 아시죠. 산업에 지게차 만큼 유용한 기계가 있을까 싶어요. 팔레트를 나르거나 무거운 것을 척척 들고 나르니깐요. 심지어 사이즈도 중대형장비만큼 크지도 않아서 어느 산업에서도 쓰입니다. 대표적으로 물류창고, 건설현장 등이죠.

산업용차량 : 지게차 / 출처 : 현대건설기계


A/S 부품 :


  앞서 건설기계인 굴삭기, 휠로더도 살펴봤고요. 산업용차량인 지게차도 봤죠. 결국 기계라는 것은 소모품이죠. 쓸 수록 새것이 되는 것이 아니라 낡아지는 자연법칙이죠. 기계라는 것은 결국 여러 부품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것을 생각한다면, 부품이 낡아질 때마다 수리하거나 교체하는 수요는 없어설 안될 요소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예를 들면, 굴삭기가 땅을 팔 때 무기역할을 하는 버켓(bucket)이 낡아진다면, 수리나 교체를 해야겠죠. 현대건설기계를 이용하는 사용자들 입장에서도 동사에서 나오는 순정품을 더 선호를 할 것이구요. 그렇기 때문에, 자연스레 A/S 부품사업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굴삭기 버켓 / 출처 : 현대건설기계


연구실적으로 보는 현대건설기계의 현주소 :


  개인적으로 현대건설기계의 연구실적과 연구계획을 보면 동사의 현상황과 미래 비전이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같이 몇 개만 살펴볼까요.

앞으로의 가장 큰 이슈는 환경이지 않을까 싶어요. 환경이슈에 관련해서 건설기계는 빠질 수 없죠. 대부분의 건설기계들은 디젤을 사용했고 디젤은 환경오염의 원인 중 하나였으니깐요. 그러다보니, 현대건설기계도 전세계 지역별 다른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장비를 개발연구 중인 것으로 확인됩니다. 가장 빠르고 확실한 방법은 디젤 > 이차전지로 전환하는 것이겠죠. 즉, 전기동력으로 장비를 굴삭기, 휠로더, 지게차 등을 운행하면 되겠죠. 이에 더해, 인건비 증가를 상쇄할 수 있는 무인장비나 원격진단 같은 연구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정리하자면, 친환경규제 이슈에 대응한 전기동력 장비들을 연구개발 중이고 인건비 상승과 더 효율적인 장비운행을 위한 원격진단, 무인시스템 연구개발을 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이것은 현대건설기계 뿐만 아니라, 두산밥캣, 현대두산인프라코어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기계산업의 트랜드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현대건설기계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맨 위 상단을 참고하면 유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