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장품

(23)
클리오, 중저가 화장품 알짜배기 브랜드를 찾고있다면, 이 업체 (쉽게설명!) 클리오 사업· 화장품 : 클리오(Clio), 페리페라(Peripera), 구달(Goodal) 등 / 내수 63%, 수출 37% 기회 · 베트남(50%)을 기준으로 동남아시아시장 진출 · 대형 화장품브랜드보다 인디브랜드 수요 증가 > 인디브랜드 1위 클리오, 매출액 증가 예상 리스크 · 타사몰, H&B에 판매 > 이익 레버리지는 힘든 구조 · 업데이트 : 타사몰, H&B 등을 통해 판매 > 이익 레버리지 한계 / 일본매출 비중이 크다. 주주구성(22년말 기준) :클리오 클리오는 15~35세의 여성들을 주요 타겟층으로 기초 및 새고 화장품을 판매하고 있는 업체입니다. 색조 전문 브랜드인 클리오(Clio), 페리페라(Peripera), 스킨케어 전문인 구달(Goodal)를 보유하고 있어요. 화장품은 직접 만들..
마녀공장, 공모주 신청하지 않을 이유가 1도 없음 (쉽게설명!) 마녀공장 사업· 화장품브랜드 : 앰플&세럼(비피다), 클렌징(퓨어 클렌징), 스킨케어(갈락토미) 기회 · 온라인판매(자사몰, 쿠팡, SSG, 11번가 등) 비중 높음 > 영업이익률 상대적으로 높음 · 리스크 · 화장품제조사 OEM/ODM 발달로 제약사, 유통사, 패션업체까지 화장품사업에 뛰어드는 중 > 화장품브랜드업체들 포화상태 · 업데이트 : *다들 공모주에 익숙하실꺼라 믿고 간단한 정보만 업데이트 할게요. 수요예측으로 공모가가 확정되어야 알겠지만, 공모가 하단, 상단(12,000~14,000원) 가릴 것 없이 PER 11~13배안에 가격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경쟁사인 클리오(PER38배), 아이패밀리에스씨(PER22배)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 참여해서 손실 볼 가능성은 아주 낮다는 판단. 한국투자..
제로투세븐, 궁중비책이 그렇게 중국에서 인기라던데, 사실일까? (쉽게설명!) 제로투세븐 사업 · 화장품(66%) : 영유아 전문브랜드 '궁중비책' / 수출56%, 내수44% · 포장(34%) : 분유 캔뚜껑(POE, Peel Off End) 아시아 POE판매 1위 / 수출84%, 내수16% 기회 · 관광객 유입이 늘어날 수록 매출이 늘어나는 구조(면세점 매출비중 28%) ·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화장품사업 확장 기대 · 22년 광군제 기간에 TMALL 유아동 스킨케어 Top10에 4개 제품이 등재 · 적자보던 패션사업 접으면서 흑자전환 · 영유아 프리미엄브랜드 '프리뮨' 출시 > 중국 유아동 화장품 등록완료 · 출생아 수 줄어든 것 대비 아기 1인당 지출소비 더 커짐 · 불황을 겪지 않는 영유아제품. IMF 때도 학습지, 영유아 관련 제품들은 'IMF호황'업종으로 분류되었음 ..
펌텍코리아, 화장품용기 매출액은 오르는데 주가는 왜 떨어지는거야? 저평가 (쉽게설명!) 펌텍코리아 사업 · (핵심사업!!) 화장품용기 : 펌프, 스틱, 콤팩트, 튜브(부국티엔씨, 자회사) 등 / 내수75%, 수출 25% · 건가기능식품 유통판매 : 자회사 잘론네츄럴(지분60%) 통해 판매 / 내수99.7%, 수출 0.3% 기회 · 수익성 높은 스틱, 콤팩트형 매출비중증가(34%, 2023E) · 중국 리오프닝으로 화장품소비 증가 · 인디브랜드 매출비중 52% vs. 아모레, LG생건 16% > 고객 다변화 리스크 · 전방산업인 화장품산업에 95% 이상 의존도 · 업데이트 : 자체 자동화 금형으로 만드는 스틱, 컴팩트 제품 비중 증가 중 > 수익성 UP 매출액은 증가하고 있지만, 영업이익률이 떨어진다는 것은 아쉬운 점주주구성(22년말 기준) :펌텍코리아 펌텍코리아는 화장품용기를 생산 및 판매..
연우, 왜 화장품브랜드사만 보나요? 결국 화장품용기가 필요할텐데(쉽게설명!) 연우 사업· 화장품용기 : 펌프형, 튜브형, 견본품 / 내수48%, 수출52% · 기회 · 중국 리오프닝으로 인한 화장품수요 증가 예상 · 전세계적인 마스크 해제로 화장품 수요 증가 예상 리스크 · 해외매출의존도 : 북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업데이트 : 매출액 일정하다가 22년 경기침체 + 원재료비용 상승 등으로 적자전환 한국 화장품 수출액 규모 추이 : 꾸준히 우상향 하다가 22년부터 인플레이션 + 경기침체로 하락 중 연우 연우는 화장품용기를 전문적으로 제조 및 판매하는 업체입니다. 종류별로는 펌프형, 튜브형이 있어요. 국내 매출비중 50%, 수출비중이 50%인데요. 수출하는 지역중에서 규모순으로 미국 > 유럽 > 중국 > 일본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22년 4월에 화장품 ODM사인 한국콜마가..
LG생활건강, 코카콜라판매와 구강치료제 같이 팔게된 사연(ft. 기업분석 정말 쉽게 해드립니다) 주가움직임 : 22.12.09 현주가 영업이익과 격차 큼 중국향 화장품수출통계 아모레퍼시픽과 상대적 주가차이 화장품 (매출액 비중 50% 이상): 경기민감 o 1. 제품 : 훔(대부분 차지), 숨, 오휘, 빌리프에 매출액 달려있음 2. 계절적 영향 : 여름에는 화장품을 덜 쓰기에 매출액 감소 3. 중국의존도 : 왕홍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반면 중국정부가 규제나서 타격 생활용품 (HDB : Home Care & Daily Beauty) : 경기민감x / 다만, PB브랜드 많아져 경쟁심화 1. 제품 : 엘라스틴(샴푸), 페리오(치약), 샤프란(섬유유연제) 음료(Refreshment) : 경기민감 x 1. 제품(코카콜라, 스프라이트, 몬스터 에너지) 2. 배달시장의 성장은 코카콜라 성장. 원자재, 환율 1. ..
3명 중 1명이 연구원인 기업, 한국콜마 기업분석 (ft. 의약품 회사로 오해할 만하다) 주가움직임 : 화장품사업(한국콜마) : 매출액 비중 50% 차지 1. 한국 화장품소비 영향 : 한국콜마주식회사 한국에 위치 / 비중 : 45% (생산가능수량 기준) 2. 중국 화장품소비 영향 : Beijing, Wuxi 해외법인 두 곳 / 비중 : 35% (같음) 3. 북미 화장품소비 영향 : 미국, 캐나다 해외법인 두 곳 / 비중 : 20% (같음) 제약사업(자회사 HK이노엔) : 한국콜마 매출액비중 40% 이상 차지 1. 압도적 내수위주 : 오송, 대소에 제조위치 2. 제약부문이 가장 큰 차지 : 내수위주(내수 : 94% / 수출 : 6% 차지) 3. 상품 : 케이캡(위식도역류질환치료), 헤르벤(고지혈증치료), 영양수액(혈액영양공급) 위주 연우(화장품용기업체) : 매출액 4%차지 넌 선택만 해. 개발..